사할린 강제동원 한국인 희생자 12명, 72년만의 귀향

국제 / 정준기 / 2017-09-14 14:18:26
  • 카카오톡 보내기
2013년 이후 이번까지 총 55위 봉환
사할린에 강제 동원 됐던 희생자 유골 12위가 봉환 돼 '국립망향의동산'에 안치된다.[사진=망향의동산 홈페이지]


사할린에 강제 동원 됐던 희생자 12명이 72년만에 그리던 조국으로 돌아온다.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14일 러시아 정부와 협의를 통해 대일항쟁기 일제에 의해 사할린으로 강제 동원되었던 한국인 희생자 유골 12위를 이날 봉환하여 15일 국립망향의동산에 안치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10일부터 13일까지 사할린 현지에서 한인 희생자 유골 12위를 발굴했고, 14일에 현지 추도·환송식을 거행한 후 국내로 이송했다.


이들은 15일 천안에 있는 '국립망향의동산'에서 추도·안치식을 거행한 후 납골당에 안치될 예정이다.


사할린 현지 추도·환송식에는 러시아 외교부, 사할린 주정부, 사할린 각 시장, 각 지역 한인회장, 유족, 현지 언론인 등이 참석해 희생자들의 넋을 위로한다.


국내 추도·안치식에는 사할린지역 강제동원 피해자 유족단체 및 유가족과 정부부처 관계자, 국회의원, 주한러시아대사관 및 주한일본대사관 관계자, 지방자치단체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한다.


그동안 정부는 1990년대 이후 외교부와 대한적십자사를 통해 사할린 한인들의 영주귀국 사업을 추진하는 한편 2005년부터 사할린 한인 강제동원 피해 및 묘지실태를 조사해왔다.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사할린에서 한인묘지 조사사업을 추진하여 1만5110기의 한인묘지를 확인했다.


또한 한·러 양국이 2013년 5월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한인 유골의 발굴과 봉환에 합의한 이후 2013년 1위, 2014년 18위, 2015년 13위, 2016년 11위에 이어 금년에 12위를 봉환하게 됐다.


윤종인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분권실장은 "정부는 강제동원희생자의 넋을 달래고 그 유가족을 위로하기 위하여 앞으로도 유골봉환 사업을 착실히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