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늑대, 본능적으로 '부당함' 안다

/ 김담희 / 2017-06-15 11:03:14
  • 카카오톡 보내기
사람 통해 공정함·부당함 학습했다는 통념 뒤집어
개와 늑대를 대상으로 버저 실험을 한 결과 본능적으로 부당함을 알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밝혀졌다.[사진=BBC News]


(이슈타임)김담희 기자=개와 늑대가 선천적으로 '공평함'과 '부당함'을 알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밝혀져 눈길을 끌고 있다.

13일 영국 BBC방송은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의 논문을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제니퍼 에슬러 비엔나 수의학대학 교수 등은 개와 그 사촌격인 늑대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무리 속에서 비슷한 방식으로 기른 개와 늑대를 실험 대상으로 삼았다.

개와 늑대는 서로를 지켜볼 수 있도록 인접한 우리 안에서 생활했으며 우리 안에 설치된 버저를 누르도록 훈련받았다. 그리고 연구진은 버저를 누르면 보상했다.

하지만 때때로 개와 늑대가 모두 버저를 눌렀음에도 한 쪽에는 보상했지만 다른 한쪽에는 보상하지 않았다.

개와 늑대 모두 버저를 눌러도 보상이 주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달으면 더이상 버저를 누르지 않았다.

이는 보상을 하더라도 한쪽에만 좋은 보상을 주고 다른 한쪽에는 비교적 질이 떨어지는 보상을 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보상을 못 받거나 질이 떨어지는 보상을 받은 개와 늑대는 버저에서 멀리 떨어졌으며 '눌러' '이리와' 등 10차례 명령을 내려도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다만 개와 늑대의 반응에는 차이가 있었다. 늑대는 버저를 눌러도 보상이 없다는 것을 알아챘을 때 개보다 빠르게 실험을 거부했다. 심지어 버저를 망가뜨리기도 했다.

연구진은 이번 실험 결과가 개가 인간에게 사육되면서 공정함과 부당함을 학습하는 것이라는 통념을 뒤집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에슬러 교수는 '개와 늑대가 실험을 계속하기를 거부함으로써 이들이 불공평함을 깨닫는 능력을 지녔다는 게 명확해졌다'고 말했다.

물론 사람이 개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무리에 섞여 자란 개와 사람과 함께 생활한 개의 반응에 차이가 있었다. 애완견은 부당한 대우에도 무리에서 자란 개보다 덜 예민하게 반응했다.

에슬러 교수는 '인간과 함께 살아본 경험이 있는 개들은 인간으로부터 부당한 대우를 받아도 더 잘 참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