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너크라이' 랜섬웨어 공격, 북한 소행설 제기

금융 / 박혜성 / 2017-05-16 09:41:19
  • 카카오톡 보내기
해외 IT 전문가들 "북한 연계 정황 발견"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랜섬웨어 공격이 북한 소행이라는 주장이 나왔다.[사진=NBC news]


(이슈타임)이유나 기자=전 세계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랜섬웨어 공격이 북한 소행이라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15일(현지시간) 다수의 IT 연구원들은 컴퓨터 네트워크에 손상을 입힌 이번 랜섬웨어 사태와 관련해 잠재적으로 북한과 연계된 정황들이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구글 연구원 닐 메타는 이번 사태를 일으킨 악성코드 '워너크라이'(WannaCry)와 북한 정권의 소행으로 널리 인식되는 광범위한 해킹에 유사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보안 업체 카스퍼스키 연구원들도 '닐 메타가 발견한 것은 워너크라이의 원래 출처와 관련해 지금까지 나온 것 중에 가장 의미있는 단서'라며 닐 메타의 주장에 동의했다.

카스퍼스키에 따르면 이번 랜섬웨어 사태에서 발견된 코드는 '래저러스'(Lazarus)라고 불리는 해킹집단의 것과 유사성을 보였다.

래저러스는 지난 2014년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를 비롯, 방글라데시 중앙은행 등 세계 금융체계를 해킹한 것으로 지목을 받는 집단으로, 특히 북한 정권과 연계돼 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이스라엘에 본부를 둔 '인테저 랩스'도 이번 랜섬웨어 사태가 북한과 관계가 있다는 주장에 동의했다.

이타이 데베트 인테저 랩스 CEO는 트위터를 통해 '인테저 랩스는 워너크라이의 책임 소재가 북한에 있다고 확인했다'며 '래저러스의 기능뿐만 아니라 다른 정보도 더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