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쑥날쑥' 동물병원비에 울고 웃는 반려인들

/ 박혜성 / 2017-03-08 11:53:09
  • 카카오톡 보내기
비싸고 병원마다 다른 진료비에 반려인들 불편 호소
비싸고 병원마다 다른 동물병원 진료비 때문에 반려인들이 불편함을 겪고 있다. 사진은 병원 치료를 받고 있는 길고양이.[사진=동물자유연대]


(이슈타임)김담희 기자=반려동물을 키우다 보면 아무리 관리를 잘 해줘도 크고 작은 질병과 각종 건강검진 때문에 동물병원을 가까이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병원비가 만만치 않고, 병원마다 진료비용이 천차만별로 달라 반려인들의 부담이 상당한 실정이다.

소비자교육중앙회 자료에 따르면 동물병원 간의 진료비 차이는 최대 5배나 된다. 또한 예방접종의 경우도 품목별 가격 차가 최대 7배에 달하는 등 같은 치료를 받아도 병원에 따라 가격 차이가 극심하다.

반려동물 의료보험 상품도 이렇다 할 동물병원비 부담 절감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다양한 상품이 수차례 출시됐지만 진료비 수가(酬價)기준이 없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높은 손해율을 감당하지 못해 판매가 중단된 경우도 많아 남은 몇개 상품만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 2013년 메리츠화재가 선보였던 '튼튼K' 반려동물의료보험도 1년 만에 수익률 문제로 판매를 중단했고, 현재 국내 반려동물의료보험은 삼성화재, 롯데손해보험, 현대해상 등 3곳에 불과하다. 이 중 롯데손해보험 측은 판매 중지를 고려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한국애견협회 박애경 사무총장은 '동물병원 진료비 수가체계가 마련되지 않아 반려인들이 커뮤니티를 통해 정보 교류를 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정부가 가격담합의 우려로 1999년 동물병원 수가제를 폐지했지만 적정 진료비를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가 불거진 만큼 현실적인 수준의 합리적인 표준수가체계가 마련돼야한다'이라고 지적했다.

반려동물 의료 수가체계는 현실적인 대안으로 자리 잡는다면 늙고 병든 반려동물의 의료비 부담을 줄여 유기동물 문제의 예방책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독일의 경우 진료수가를 법으로 표준화하고 있다. 독일 정부에선 '진료비의 하한선'을 설정해 하한선의 3배 이상 받을 수 없도록 규제하고 있다. 미국에선 진료수가 법적규제는 없지만 미국동물병원협회(AAHA)에서 진료비 평균 값 등 기초 정보를 제공해 소비자들이 판단할 수 있도록 맡기고 있다.

그러나 시민들은 수가체계가 마련되면 과잉진료를 저지하고 동물의료보험이 활성화 할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에 공감하면서도 오히려 진료비용이 획일적으로 상향조정 돼 부담이 가중하는 등 부작용을 크게 우려했다.

농식품부 방역총괄과 관계자는 '동물진료 표준수가체계 도입에 대해 우려하는 반응들이 많았다' 며 '정책연구용역을 통해 동물진료 표준항목 체계를 마련하고 해외사례 등에 대한 연구 조사 후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