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닭 산지' 포천, AI로 닭 120만 마리 살처분

경제/산업 / 박혜성 / 2016-12-09 11:42:27
  • 카카오톡 보내기
농민들 부담해야 하는 살처분 소요 비용만 12억원 육박
국내 최대 닭 산지인 포천에서 AI로 인해 120만 마리의 닭이 살처분됐다.[사진=KBS 뉴스]

(이슈타임)박상진 기자=국내 최대 닭 산지인 경기도 포천시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의 직격탄을 맞아 막대한 피해를 입고 있다.

9일 경기도와 포천시에 따르면 지난달 22일 영북면 산란계 농가에서 의심신고가 접수된 뒤 H5N6형 고병원헝 AI가 확인된 곳은 모두 9개 농가다.

AI 발생으로 살처분 대상이 된 닭은 15개 농가 120만 마리에 달한다. 포천시에서 225개 농가가 1014만 마리를 사육하는 것을 고려하면 전체의 12%에 해당하는 닭이 땅속에 묻혔다.

포천시에서 사육되는 산란계는 65개 농가 800만 마리로, 전국 계란 생산의 10% 가량을 차지한다.

이번에 포천에서 AI가 확인됐거나 정밀검사 중인 10곳 모두 산란계 농가다. 살처분도 산란계 농가 15곳에서만 이뤄졌다.

산란계 농가 65곳 중 15곳(23%)으로, 4개 농가 중 1개 농가가 이번 AI로 피해를 본 셈이다.

특히 AI가 확산되자 포천시는 지난 5일부터 최초 발생지인 영북면을 비롯해 관인·창수·영중면 등 4개 면 양계농가에 이동제한 조치를 내려 계란 출하도 못 하게 했다.

출하를 못 한 계란은 상품성이 떨어져도 보상을 받지 못한다.

게다가 피해 농가들은 막대한 살처분 비용까지 떠안아야 한다.

지난달 23일부터 16일간 포천시는 살처분을 위해 연인원 1087명(공무원 107명 포함), 포크레인 24대와 덤프트럭 31대 등 모두 108대의 장비를 동원했다.

닭 1마리를 살처분 하는데 1000원 가량의 비용이 드는 것을 감안하면 120만 마리 살처분에 소요되는 비용은 12억원에 달한다. 이를 15곳 농가가 부담해야 하는 것이다.

하병훈(69) 포천시양계협회 회장은 ·살처분 보상도 이것저것 빼고 나면 턱없이 부족한데 매몰 비용 부담에 생산한 계란 출하도 못 해 피해가 이만저만 아니다·며 ·시에 출하를 못 한 계란에 대한 보상 여부를 물어봤지만 ·원칙적으로 안된다·는 답변만 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규모가 어느 정도 되는 농가는 하루에 5t 트럭 4·5대 분량의 계란을 생산하는데 그 많은 양을 어떻게 보관하냐·며 ·기껏해야 2·3일은 버티겠지만 쌓아둘 곳이 없어 버려야 하는 실정·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도 관계자는 ·살처분 비용 부담은 시·군마다 다르다·며 ·1차적으로 농가에서 부담하는 것이 원칙이고 지자체가 지원할 수도 있다고만 돼 있어 재정이 열악한 시·군이 자부담을 시키면 농가 피해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포천에서는 지난해 1·4월에도 H5N8형 고병원성 AI가 발병해 3개 농가에서 20만 마리의 닭이 살처분 되는 등 피해를 봤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