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구진, 지카 바이러스 눈에도 침투하는 것 확인

국제 / 박혜성 / 2016-09-07 12:03:51
  • 카카오톡 보내기
실험 결과 홍채·각막·망막 등 다양한 눈 부위서 바이러스 검출
지카 바이러스가 눈에도 침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사진=BBC]

(이슈타임)박상진 기자=세계적으로 유행 중인 지카 바이러스가 소두증뿐만 아니라 눈병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AFP통신은 지난 6일(현지시간) 워싱턴 의대, 콜로라도주립대 등 공동 연구진들의 연구를 인용해 태아 상태의 쥐와 신생아 쥐, 성체 쥐에 지카 바이러스를 주사하자 7일 뒤 눈에서 지카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금까지 보고된 일부 성인 지카 감염자의 눈 질환, 또는 실명 사례를 입증하게 된 연구 결과로 주목을 받고있다.

연구진이 성체 쥐와 신생아 쥐에게 지카바이러스를 주사하자 7일 뒤 쥐의 눈이 붉게 충혈되며 결막염, 포도막염 등이 나타났다. 쥐의 홍채, 각막, 망막 등 다양한 눈 부위에서 바이러스가 실제로 검출됐다.

게다가 지카에 감염된 쥐의 눈물에서는 지카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인 RNA 가 다량 검출됐다. RNA는 감염 뒤 28일까지도 눈물에 남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에 참여한 마이클 다이아몬드 미국 워싱턴의대 교수는 눈도 지카 바이러스의 저장소가 될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며 지카에 감염된 사람 또한 눈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는지와 얼마나 오랜 기간 (눈에) 침투해있을 수 있는지를 고려해봐야 한다 고 설명했다.

지카 바이러스가 사람의 눈에 살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 감염된 눈물과 접촉하는 것만으로도 전염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사례가 보고된 적은 없어 만큼 눈물 전파는 극히 드물 것으로 연구진들은 추측했다.

아을러 피부를 통해 들어온 지카 바이러스가 어떤 경로로 눈까지 도달하는지는 확인이 되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연구진은 바이러스가 눈과 혈류를 분리하는 혈액-망막 장벽(blood-retina barrier)을 넘어 뇌와 눈을 연결하는 시신경을 따라 유입된 것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의학학술지 셀 리포츠 (Cell Reports)를 통해 발표됐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