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송사업 썩은 밀가루 유통, 납품받은 농심 묵묵부담

경제/산업 / 김담희 / 2016-05-03 15:05:40
  • 카카오톡 보내기
선별장 옆 쥐가 발견되는 한편 공장 안팎에 썩은 밀가루 포대 발견돼
한 전분제조업체가 썩은 밀가루로 전분을 만들어 논란이 일어난 가운데 이를 납품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대기업이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GettyImagesBank멀티비츠]


(이슈타임)김현진 기자=신송사업이 썩은 밀가루를 원료로 사용해 논란이 된 가운데 신송사업에서 원료를 납품 받은 농심에서는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지난달 27일 MBC는 단독보도를 통해 충남 논산에 위치한 한 산업이 썩은 밀가루로 전분을 사용한 사실이 국민권익위원회(이하 권익위)를 통해 밝혀져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다 고 보도했다.

보도 당시 노출된 공장의 위상상태는 엉망진창이었다. 전분을 만드는 선별장 옆에 어린 아이 주먹 크기의 쥐가 있는 가하면 공장 안팎으로 곰팡이가 잔뜩 핀 썩은 밀가루가 방치돼 있었다.

해당 산업 직원 A씨는 (회사가 썩은 밀가루를 폐기처분하지 않고 썩은 것과 좋은 것을 선별해 상태좋은 것은 컨베이어에서 자동으로 투입시키고 썩은 것은 수동으로 사람이 발로 밟아 투입해 (생산)했다 고 말했다.

관련 제보를 받은 권익위는 충남 논산시 소재 전분가공업체 신송사업 공장에서 전분 재료인 밀가루 중 일부는 썩고 곰팡이가 핀 상태로 방치돼 있는 것을 확인했다.

신송사업측은 최근 보도자료를 통해 아직 사실로 드러나지 않은 부분이 마치 사실인 것처럼 보도돼 당혹스럽다 며 유관기관들의 조사가 이뤄지고 있는 만큼 섣불리 판단하지 말아달라 고 입장을 표명했다.

그러나 권익위를 통해 신송산업이 썩은 소맥 전분 사태가 확인된 만큼 철저한 조사와 조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신송사업에서 만든 소맥 전분을 유통받는 대형 식품 업체들이 눈길을 끌고 있다. 특히 이 중 라면 업계 부동의 1위인 농심에도 문제의 원료가 흘러들어갔을 가능성에 주목되고 있다.

하지만 농심쪽에서는 어떠한 입장을 밝히지 않은 가운데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