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은 결혼탓에 고위험 임산부 4년간 증가세
- 경제/산업 / 박사임 / 2016-02-02 10:46:13
고위험 임산부 정상 임신일 때보다 사망이나 질병에 걸릴 위험 크다.
(이슈타임)신원근 기자= 임신 및 출산 지원 강화를 위한 기초조사 연구 에 따르면 지난 4년간 출산율은 떨어지는데 고위험 임산부는 꾸준히 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늦은 결혼에 따른 고령 임신에다 시험관 아기 시술로 쌍둥이 등 다태아를 임신하는 경우가 증가하기 때문인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고위험 임산부는 산모와 태아가 정상 임신일 때보다 사망이나 질병에 걸릴 위험이 크거나 분만 전후에 합병증이 발병해 상대적으로 의료를 많이 이용함으로써 의료비 부담이 더 큰 이유이다. 전체 임산부의 의료이용을 분석해 보면 , 2011~2014년 전체 임산부는 거의 매년 감소했다. 반면 전체 임산부에서 차지하는 고위험 임산부의 비중은 해마다 증가했다. 년간 추이를 계산해 보면, 분석 대상 임산부는 2011년 45만5737명, 2012년 46만7511명, 2013년 42만1439명, 2014년 42만1775명으로 감소 추세를 였다. 이에 반해 고위험 임산부(전체 임산부에서 차지하는 비율)는 2011년 3만5974명(7.9%), 2012년 3만9146명(8.4%), 2013년 3만8140명(9.0%), 2014년 4만1051명(9.7%) 등으로 상승했다. 년간 고위험 임산부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전체 임산부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증가했다. 지난 2014년 기준 고위험 임산부 중에서 35~39세는 13.9%를, 40세 이상은 15.8%를 분포했다. 각 임신 유형에 따른 고위험 임산부 현황 추이를 살펴 보면, 쌍둥이 등 다태 임산부가 단태 임산부보다 고위험 임산부일 가능성이 컸다. 출산 방법에 따른 고위험 임산부는 제왕절개를 한 임산부가 자연분만을 한 임산부보다 고위험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고령 임신에다 시험관 아기 시술로 인해 다태아 임신하는 경우 증가했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GettyImagesBank멀티비츠 ]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