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빅3 역대 최대 적자…수주 1위 중국에 내줘
- 금융 / 박사임 / 2016-01-07 10:26:39
지난 2년간 누적손실 10조여원…올해도 암울
(이슈타임)신원근 기자=글로벌 경기 악화에 해양플랜트 악재 등이 겹치면서 지난해 국내 대형 조선 3사가 사상 최대 적자를 낸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적자 규모만 8조여원에 달하고 2014년까지 합치면 10조원을 넘는다. 이는 국내 최대 자동차 제조사인 현대·기아차의 연간 영업 이익과 맞먹는 수치다. 지난해 세계 수주 실적 1위는 중국으로 4년 연속 한국 조선업이 밀렸다. 7일 조선 및 증권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042660]과 현대중공업[009540], 삼성중공업[010140]은 지난해 총 8조여원의 적자를 낸 것으로 추산됐다. 대우조선이 지난해 5조여원,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이 각각 1조4000억·1조5000억원 수준의 영업 손실이 예상된다. 대우조선은 지난해 3분기까지 4조5317억원의 적자를 냈다. 2014년 4771억원의 흑자를 냈던 것과는 천양지차다. 대우조선은 지난해 3분기까지 드릴십 계약 해지 등 해양플랜트 손실에다 장기매출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 망갈리아 조선소 등 해외 자회사에서 발생한 손실을 반영했다. 지난해 4분기에도 여전히 전 세계 조선 시황이 좋지 못했고 해양플랜트 지연 등의 복병이 잠재해 수천억원의 추가 적자가 예상된다. 2014년 3조여원의 적자로 ·어닝쇼크·를 일으켰던 현대중공업은 2년 연속 조원대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3분기까지 현대중공업의 영업 손실은 1조2600억원에 달한다. 특히 지난해 3분기는 시장 전망치를 뛰어넘어 영업 손실이 8976억원에 달하면서 2013년 4분기부터 8분기 연속 영업 적자를 냈다. 현대중공업은 조선부문 반잠수식시추선 계약 취소에 따른 손실을 미리 반영하고 유가 하락 등 해양부문 경영환경 변화에 따른 예상 손실 충당금도 반영했으나 지난해 4분기에도 업황 부진에 따른 적자가 예상된다. 2014년 1830억원의 흑자를 기록했던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3분기까지 1조5000여억원의 적자를 냈다. 다만, 그동안 부실을 털어낸 덕분에 지난해 4분기에는 겨우 적자를 면한 것으로 파악된다. 조선 빅3의 최고경영자들이 올해 신년사에 긴축 경영을 선언하면서 흑자 기조의 원년으로 삼겠다고 다짐했지만 주변 여건이 녹록지 않기 때문이다. 해양플랜트 납기 지연에 따른 손실 문제가 올해도 지속적으로 불거질 가능성이 큰 데다 전세계 조선업황이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허리띠 졸라매기로 자체 비용을 줄일 수는 있겠지만 근본적인 수익 개선이 힘들어 내년에도 조선 3사의 적자는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국가별 수주 실적은 중국이 1025만CGT(표준환산화물톤수), 한국이 1천15만CGT를 기록해 중국이 10만CGT 차이로 1위에 올랐다. 일본은 914만CGT로 3위였다. 우리나라의 지난해 12월 선박 수주실적이 11만CGT로 수주량이 전혀 없었던 지난 2009년 9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보인 데 따른 것이다. 중국은 지난 2012년부터 4년 연속 수주 실적에서 1위 자리를 지켰다.
내 대형 조선 3사가 사상 최대 적자를 낸 것으로 보인다. [사진=연합뉴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