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명 중 1명 대학 졸업한 '고학력 니트족'

경제/산업 / 김담희 / 2015-12-28 09:26:35
  • 카카오톡 보내기
학력이 증가함에 따라 니트족의 비율이 높아지는 특이 현상
24일 국회입법조사처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에 대졸자 4명 중 1명이 니트족이라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GettyImagesBank멀티비츠]


(이슈타임)김현진 기자='니트족' 학업을 이어가는 것도 아니면서 경제활동도 하지 않는 사람들을 이르는 말로 이러한 '니트족'(NEET'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이 국내에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4일 국회 입법조사처가 발간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주요 국가 청년 NEET의 특징과 시사점'에 이와 같은 내용이 담겼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15~29세 청년 대학 졸업자 4명 중 1명(24.4%)가 니트족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경제 위기를 겪고 있는 그리스(39.2%), 커티(24.5%)에 이어 조사대상인 OECD 주요 14개 국가중 3번째로 높은 수치이다. OECD 평균(12.9%)에 비해서는 약 2배다.

다른 국가와 비교했을 때 학력이 증가함에 따라 니트족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도 특이한 점이다.

국내 중졸자 5.1%가 니트족인 반면 고졸자는 22.9%, 대졸자는 24.4%로 비율이 점점 높아졌다.

고학력자일수록 니트족 비율이 떨어지는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 등과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만우 국회입법조사처 보건복지여성팀장은 '고학력자들이 취업 준비 기간을 늘리더라도 양질의 일자리를 찾으려는 경향이 높다 보니 나타나는 현상이다'라고 현재 상황을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국내 니트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맞춤형 처방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영국 등 저학력 니트족 비율이 높은 나라들은 단순 직업 훈련 강화를 통해서도 효과를 볼 수 있지만 고학력 니트족이 많은 국내는 상황이 다르기 때문이다. 장기 취업준비를 통해 높아진 눈높이 충족을 시킬 수 있는 전문 일자리가 필요하다.'

이 팀장은 '임시직이라도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일자리를 공공부문에서 만드는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