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행복지수 평균 5.46점 '갈수록 낮아져'…인천시 가장 낮아
- 경제/산업 / 김담희 / 2015-12-22 09:40:50
"안정적 일자리 만들기와 서민 생활 안정 지원이 시급한 과제"
(이슈타임)김현진 기자=국민 행복지수가 5.46점을 기록해 역대 최저 수준으로 나타났다. 2011년부터 매년 7대 광역시민의 행복지수를 조사해 발표해온 스마트행복포럼(상임공동대표 정성호 동명대 교수)은 2015년 한국인 평균 행복지수는 10점 만점에 5.46점을 기록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는 2011년 조사 이래 5년 사이 가장 낮은 수치다. 이 같은 결과는 스마트행복포럼이 올해 11월 1일부터 같은 달 30일까지 사단법인 부산사회조사연구원에 의뢰한 전국 7대 도시 1024명을 대상으로 한 1대 1 전화면접 조사에서 나왔다. 표준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 3.1%포인트다. 응답자 가운데 16%는 불행(0±3점), 55.3%는 보통(4±6점)이라고 답했고, 행복하다고 응답한 사람은 28.7%(7±10점)에 그쳤다. 낮은 행복감을 보인 곳은 인천 거주자, 고졸 이하 저학력자, 이혼±사별자, 60대, 201만±500만원의 중상 소득자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상대적으로 높은 행복감 계층은 서울과 부산 거주자, 대학원 이상 고학력자, 미혼, 20대, 대학생에서 많았다. 국민행복지수는 조사 첫해인 2011년 6.41점을 보였고, 2012년 6.64점으로 정점을 찍은 후 2013년 6.24, 2014년 5.83, 올해 5.46점으로 지속적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성호 스마트행복포럼 상임공동대표는 ±20대와 대학생이 상대적으로 높은 행복감을 나타낸 것은 연령이 낮을수록 경제적 부담이 적고 미래에 대한 낙관적 전망을 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면서 ±행복도 증가를 위해서는 안정적 일자리 만들기와 서민 생활 안정 지원이 시급한 과제±라고 분석했다. 스마트행복포럼은 이 같은 국민행복지수 조사 결과를 오는 29일 오후 2시 동명대 대학본부경영관 106호에서 열리는 심포지엄에서 발표한다. 이날 정 교수의 기조연설에 이어 대림커뮤니케이션 연구원 김도희 박사가 ±대한민국 행복지수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동의대 이준호 교수가 ±정치소통이 국민행복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로 발표한다. 포럼에서는 또 ±행복한 삶을 위한 자세±를 주제로 토크쇼가 열린다.
국민 행복지수가 54.6점을 기록해 역대 최저 수준이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GettyImagesBank멀티비츠]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