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불량계란으로 만든 빵·과자 '전량회수'
- 경제/산업 / 김담희 / 2015-09-15 13:54:11
단속을 피하기 위해 불량계란과 정상계란을 혼합해 액상계란으로 만들어
(이슈타임)김현진 기자=전남지역에서 폐기되어야하는 계란으로 만든 빵과 과자가 유통된 사실이 적발됐다. 광주 남부경찰서는 15일 분변·깨진 계란 33만650판(1판 30개)을 유통시킨 혐의(식품위생법 위반)로 양계장 주인 A(52)씨 등 7명과 계란가공유통업체 대표 B(45)씨 등 3명, 제과업체 대표 C(60)씨 등 5명, 총 15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밝혔다. 전남 순천경찰서도 지난 2일 수년동안 불량계란 2261판을 불법 유통한 양계장 주인과 유통업체, 제과점 대표 등 11명을 적발했다. 식품위생법상 계란의 껍질이 깨지거나 분변이 묻으면 세균 감염과 식중독을 일으킬 우려가 있어 전량 폐기해야 한다. 경찰이 불량계란에 대해 광주시보건환경의료원에 식용 적합 검사를 실시한 결과에서도 대장균의 경우 기준치 1000보다 높은 5900으로 나타나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하지만 광주와 전남, 전북지역에서 양계장과 가공업체, 제과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이들이 서로 계약을 맺고 지난 2007년부터 최근까지 8년여동안 유통한 계란은 33만2911판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시중가 4500원(1판당)보다 저렴한 2000원에서 2500원에 불량계란을 사들인 제과업체는 이를 이용해 빵이나 과자 등을 만들어 대형마트 등에 수백 상자를 납품한 것으로 드러나 전량 회수 등의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실제 경찰은 가공업체와 제과업체 등에서 아직 사용되지 않은 액상계란 1.9t과 불량계란으로 만들어진 빵과 과자류 30상자를 압수해 전량 폐기했다. 불량계란 유통을 막기위해서는 광주시 등 관계기관의 단속도 강화돼야 한다는 목소리다. 전국의 계란 관련 등록업체는 총 1753곳이며 광주는 90곳, 전남 72곳이다. 이 중 경찰에 적발된 계란관련업체 대부분은 광주시와 해당 지자체 등에 등록돼 있었지만 단속을 피하기 위해 불량계란과 정상계란을 혼합해 액상계란으로 만드는 방법을 이용했다. 또 일부는 계란 생산자를 표시하지 않는 수법으로 단속기관의 눈을 속였다. 경찰 관계자는 ·제과업체 등은 추석 대목을 노리고 빵이나 과자 등을 대량으로 만들어 대형마트 등에 납품했을 것으로 보인다·며 ·전량회수와 함께 관계기관의 적극적인 단속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남지역에서 폐기계란으로 과자와 빵을 만들어 유통시킨 관계자들이 경찰에 붙잡혔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KBS 뉴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