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폰 불법 해킹 논란' 국정원 "해킹 프로그램 대북 정보 수집용으로 썼다"
- 경제/산업 / 박혜성 / 2015-07-17 14:41:58
			
							"우리나라 국민 대상으로 사용 안 했다"
			
			
			     (이슈타임)박혜성 기자=최근 불거진 '민간인 스마트폰 불법 해킹' 의혹과 관련해 국정원이 해킹 프로그램은 대북 정보 수집용이라고 주장했다.  17일 한 여권 관계자에 따르면 국가정보원은 지난 2012년 구입한 해킹 소프트웨어인 '리모트컨트롤시스템'(RCS) 활용처에 대해 '20개 회선을 들여와 18개는 대북 정보 수집용으로, 2개는 연구용으로 각각 사용했다'고 국회 정보위에 보고했다.  이 관계자는 '18개 회선을 사용했지만 이게 몇 명을 대상으로 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면서 '해외에 있는 IP를 이용한 것인데 메일을 보냈다고 해도 상대방이 열어보지 않으면 가동이 되지 않기 때문에 성공확률이 100분의 1이라고 들었다'고 전했다.  이병호 국정원장은 앞서 지난 14일 국회 정보위에서도 RCS 소프트웨어 구입을 확인하며 '대북 및 해외 정보전을 위한 기술 분석과 연구개발용'이라며 우리나라 국민을 대상으로 사용하지는 않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국정원 출신의 국회 정보위 간사인 이철우 의원 또한 이날 국회에서 열린 주요당직자회의에서 '국정원이 지난 2012년 1월과 7월 이 해킹프로그램을 10개 회선씩 구입했다'면서 '(20개 가운데) 2개는 자체 실험용으로 쓰고 나머지는 늘 하는 대북 감시용으로 활용했다고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여권 관계자는 국정원이 한 변호사를 상대로 해킹을 시도했다는 의혹에 대해서 '몽골에서 벌어진 일을 '코리아'로 오역한 것'이라면서 '대북감시용으로 북한 공작원 등을 상대로만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			
			
			
		
	국정원이 최근 불거진 민간인 해킹 논란에 대해 부인했다.[사진=연합뉴스 TV]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