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아파트 가격 하락세…부동산 법안처리 지연 탓

금융 / 권이상 / 2014-11-14 17:10:00
  • 카카오톡 보내기
NULL
전국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상승세가 둔화됐다. 서울 강남 일대 아파트 매매가격은 하락세로 돌아섰다. ">업계는 올해에만 3차례 걸쳐 나온 부동산대책 ">강남구와 송파구 역시 급매물 소진 후 매수인과 매도인의 기대가격 차이로 인해 매매거래가 주춤한 모습을 보이며 각각 0.01% 하락 및 보합(0.00%)을 기록했다.

국민은행은 강남지역 아파트 매매가격 하락세 원인으로 장기적으로 집값 상승에 대한 불확실성과 정부가 시행하는 낮은 금리의 전세기금대출에 따른 신혼부부수요 등 신규수요의 전세선호 지속현상을 꼽았다.

또한 일부 매매로 전환된 수요가 기존 단지가 아닌 위례신도시 등 신규분양시장으로 유입된 데다 급매물이 소진된 후 매수인과 매도인의 기대가격 차이에 따라 매수관망세가 증가한 것도 이유다.

부동산업계에서는 재건축 때 조합원에게 보유물량만큼 분양을 허용하는 법개정이 미뤄지는 등 투자수요를 위축시킨 것도 강남의 가격하락세에 영향을 미쳤다고 해석하고 있다.

서울 전체로는 0.02% 상승했고 강북과 강남지역이 각각 0.03%, 0.02% 올랐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5% 상승하며 상승세를 지속했지만 상승폭은 전주(0.06%)대비 둔화했다. 수도권은 인천(0.05%), 경기(0.05%)에서 모두 상승해 17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번 주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07% 상승하며 장기간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상승폭은 전주(0.08%)대비 소폭 둔화했다. 반면 서울은 강북지역(0.08%)이 전주대비 상승폭 확대하며 0.09% 올랐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