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인 설문, "기업 36%, 구조조정 계획 있다"

금융 / 김영배 / 2014-10-29 15:18:00
  • 카카오톡 보내기
NULL

장기 불황의 여파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에서 구조조정을 단행하고 있다.


실제로 기업 10곳 중 4곳은 현재 구조조정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이 기업 1182개사를 대상으로 '구조조정 계획 유무'를 조사한 결과, 35.5%가 '있다'라고 밝혔다.


기업 형태별로는 '대기업'(39%)이 가장 많았고, '중소기업'(35.8%), '중견기업'(29.9%) 순이었다.


또 이들 기업의 18.1%는 지난해에도 이미 구조조정을 실시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예상하는 구조조정 시기는 '올해까지'(48.7%)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뒤이어 '내년 상반기까지'(43.7%), '내년 하반기까지'(5.7%), '내후년(2016년) 이후'(1.9%) 순으로 답했다.


구조조정 규모는 전체 인원 대비 평균 7%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구조조정을 실시하는 이유로는 '조직운영을 탄력적으로 하기 위해서'(51.1%,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29.8%), '인건비를 절감하기 위해서'(23.4%), '적자를 해결하기 위해서'(19.6%), '장기화된 경기침체에 대응하기 위해서'(15.5%), '잉여 인력이 있어서'(14.8%)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시행하려는 구조조정 방식은 62.3%(복수응답)가 '권고사직'이라고 답변했고, '정리해고'는 23.9%, '희망·명예퇴직'은 15%였다.


구조조정 방식은 기업 형태별로 차이가 있었다.


대기업의 경우 '희망·명예퇴직'과 '정리해고'(43.8%, 복수응답)라는 응답이 많았던 반면, 중견기업 및 중소기업은 '권고사직'(각각 58.6%, 64.2%)을 1순위로 선택해 차이를 보였다.


반면, 구조조정을 시행하지 않는 기업(763개사)은 그 이유로 '불필요한 인력이 없어서'(30.9%, 복수응답), '직원들의 충성도가 낮아질 수 있어서'(17.2%),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어서'(12.7%), '미래 성장을 저해시킬 수 있어서'(11.3%) 등을 들었다.



사람인 설문조사 결과(사진제공=사람인)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