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들이 가장 많이 하는 거짓말은?

금융 / 김영배 / 2014-10-28 18:18:00
  • 카카오톡 보내기
NULL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이 직장인 1175명을 대상으로 '회사에서 가장 많이 하는 거짓말 유형'에 대해서 조사했다.


조사 결과 '정말 대단하세요, 그런 오해를 받다니 억울하시겠어요' 등 과도한 칭찬이나 이해되지 않는 상황도 공감하는 척하는 '맞장구형'(18%)이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지시한 업무가 얼마나 진행됐는지를 확인하는 상사, 선배의 물음에 '거의 다 했습니다' 등이라고 답하는 임시방편형'(16.3%)이었다.


계속해서 입버릇처럼 자주 들을 수 있는 '진짜 회사 그만 두고 만다' 등 감정형(15.2%), 특별히 할말이 없을 때 자주하는 '밥 한번 먹어야 하는데' 등 빈말형(10.6%)이 상위에 올랐다.


이밖에 '아파요, 집에 일이 있어서' 등 핑계형(8.6%), '오늘 예뻐(멋있어) 보여요' 등 분위기 맞춤형(7.7%), '네? 기억이 안나요' 등 기억상실형(6.4%), '역시, OO밖에 없어. 최고야' 등 당근형(3.2%), '난 그렇게 일 안 했어' 등 압박형(2%) 등이 있었다.


직급별로 살펴보면, 사원급은 '맞장구형'(21.5%), 대리급은 '임시방편형'(16.8%), 과장급은 '감정형'(20.3%), 부장 및 임원급은 '빈말형'(각각 20.8%, 22.2%)을 가장 많이 선택해 차이를 보였다.


거짓말은 주로 '개인적인 대화를 할 때'(20.5%) 많이 하지만, '업무 관련 이야기를 할 때'(16.7%), '상사가 업무 등 지시할 때'(16.4%) 등 업무와 관련된 상황에서도 빈번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짓말을 하는 이유로는 '대화에 장단을 맞추기 위해서'(30.7%,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딱히 할말이 없어서'(20.9%), '기분 나쁘지 않게 거절하기 위해서'(19.5%), '그 상황을 모면하기 위해서'(18.1%), '추가업무 등 불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15.7%), '귀찮은 질문을 계속해서'(14.5%) 등의 의견이 있었다.


거짓말을 하는 대상은 주로 '상사'(57%)나 '비슷한 직급 동료'(23%)였고, 절반 이상인 53.5%가 '하루 중 필요 시 1~2번은 한다'고 답했다.


한편, 직장생활을 하는데 거짓말이 필요한지를 묻는 질문에는 '피해주지 않는 선의의 거짓말은 필요하다'는 의견이 무려 91.4%나 됐다.


'무조건 필요하다'는 5.4%, '절대 안 된다'는 3.2%에 그쳤다.



사람인 설문조사 결과(사진제공=사람인)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