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래 행복청장 “행복청 2030년 이후에도 세종시에 남아야”...시민지탄 쏟아져

대전/충남/세종 / 김교연 / 2022-10-20 15:01:44
  • 카카오톡 보내기
이 청장 13일‘행복수도청'‘행복도시관리청’으로 명칭 변경 후 도시관리 기능 맡아야" 발언
▲ 지난 5월 이상래 행복청장이 취임식에서 인사를 하고 있다.(사진=행복청) 

[프레스뉴스] 김교연 기자= 행복청이 최근 2030년 이후에도 명칭을 바꿔 세종시 관리부처로 남아야한다고 주장한 것과 관련 시민들의 지탄이 쏟아지고 있다. 

 

행복청은 2030년 세종시 도시건설이 완성되면 존립 사명을 다해 간판을 내려야 한다. 

 

이상래 행복청장은 지난 13일 한 중앙매체와의 인터뷰에서 “행복도시 건설사업이 완료되면 ‘행복수도청’이나 ‘행복도시관리청’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전체적인 도시관리 기능을 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향후 관리 주체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러한 이 청장의 주장이 일파만파로 퍼지는 가운데 세종시민들은 이 청장의 발언이 행복청에 대해 그간 쌓인 불만에 기름을 붓는 겪이라고 발끈했다.

시민들은 개청 17년동안 허허벌판이었던 세종시를 수려한 도시로 건설한 행복청의 그간의 노고는 인정해야 한다. 하지만 출퇴근길을 교통지옥으로 만든 비좁은 도로, 전국최고의 상가공실율로 인해 시민들이 받는 고통은 모두 행복청의 미숙한 행정의 결과라고 평가했다.

실제 인근 대전시만 봐도 12차선 도로는 손쉽게 볼 수 있다. 반면 행정수도를 염두해 두고 만든 도시의 도로를 이토록 좁게 설계해 놀 수 있느냐는 것이 가장 큰 불만으로 회자된다.

행복청과 LH가 땅 장사를 하기 위해 도로가 들어설 용지에 상가용지를 공급했다는 것이 시민들의 일반적인 견해다.

과도한 상가용지 공급으로 인해 수요보다 많은 상가가 건설돼 분양되면서 세종시는 이후 유령상가와 소상공인들의 폐업과 손실로 인한 고통이 꼬리를 물고 이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현재 교통문제와 상가활성화 및 소상공인 손실대책 등은 모두 세종시장이 시정을 통해 해결해야 할 숙원사업이 됐다. 취임 100일이 막 지난 최민호 시장은 20일 상가규제완화를 발표하는 등 현재 하나씩 실마리를 풀어가고 있는 중이다.

일각에서는 작년 한해 전국을 강타했던 공직자투기 사건과 관련, 세종시를 투기도시로 오명을 씌우는데 앞장 선 것도 행복청이라는 지적이다.

전 행복청장부터 행복청 간부까지 세종시 일대에서 내부정보를 이용해 땅을 사들였다는 투기의혹으로 인해 세종시는 몸살을 앓았다.

행복청에 대한 시민들의 불만이 하늘을 찌르고 있음에도 그간 행복청은 시민들과 소통하거나 사과하는 것 없이 불통행정으로 일관해 왔다는 지적이다.

이상래 행복청장은 역대 행복청장과는 다르게 도시건설분야와는 거리가 먼 비전문가 출신으로 정치적인 계산이 발 빠르다는 것이 주된 평가다.

이 청장이 어떤 심산으로 이러한 발언을 했는지 추후 추이를 지켜봐야 하지만 후폭풍이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1

라이언킹 님 2022-10-20 17:34:05
아니 정신이 제대로 있다면 이런 언론 플레이를 할 수가 없어요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