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추석 성수품·선물세트 최대 50% 할인…추석 민생 안정 총력"
- 경제 / 강보선 기자 / 2025-09-09 16:15:32
국무회의서 "추석 민생안정 총력"…성수품 21종 역대최대 17만톤 공급
[프레스뉴스] 강보선 기자=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9일 "추석을 계기로 민생 안정을 위한 정책을 통해 민생 활력 제고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내수 반전을 국민이 더 체감하고, 피부로 느낄 수 있는 민생 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반기 모든 정책적 노력을 강화하겠다"며 이처럼 밝혔다.
구 부총리는 "전반적인 소비자 물가는 2% 내외로 관리되고 있지만 농축수산물, 가공식품, 외식 물가는 높은 것이 사실"이라며 "세 가지 분야에 정책적인 노력을 집중해서 물가를 안정시키겠다"고 말했다.
이어 구 부총리는 추석 성수품 물가 안정을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의 공급과 할인 지원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배추, 무, 소·돼지고기, 고등어 등 21대 성수품은 역대 최대인 17만 2000톤을 공급한다.
정부 지원을 통해 전통시장에서 성수품을 구매할 경우 최대 50%까지 할인받을 수 있도록 하고, 추석 선물 세트도 최대 50%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도록 재정을 지원할 방침이다.
아울러 감자, 냉동 과실 등 식품 원료 6종을 할당관세 적용 품목에 추가해 물가 안정을 꾀한다.
구 부총리는 "성수품 가격 수급 동향에 대해서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점검해 바가지요금이나 유통 과정에 불합리한 점, 불공정 행위가 없도록 관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정부는 민생 부담 경감을 위해 명절 시기를 맞아 소상공인·중소기업에 역대 최대인 43조 2000억 원의 자금을 지원하고, 서민금융도 1000억 원 이상 추가 공급한다. 성수품 구매를 위한 대출을 확대하고, 점포당 최대 1000만 원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온누리상품권 사용에 대한 현장 환급 제도도 도입한다. 금액별로 3만 4000원~6만 7000원은 1만 원, 6만 7000원 이상은 2만 원을 환급할 예정이다. 공공배달앱을 통한 할인도 확대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E-9 비자 요건 완화를 통해 외식업 소상공인의 비용 절감도 추진할 예정이다.
지방 중심의 내수 활성화 방안도 추진된다. 오는 22일부터 4조 7000억 원 규모의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고, 특별재난지역 숙박쿠폰 15만 장을 발행하는 등 소비 인센티브를 확대한다. 근로자 휴가 지원도 15만 명에서 17만 명 규모로 늘릴 예정이다.
또한 10조 원 규모의 지역사랑 상품권을 발행하고 할인율도 기존보다 늘린다. 스포츠 관람 쿠폰 지급도 기초연금 수급 대상자에서 65세 이상 전체로 확대한다.
구 부총리는 "전시 공연 쿠폰도 발급 횟수를 확대하고 비수도권 할인액도 1만 원에서 1만 5000원으로 올릴 예정"이라며 "추석 연휴 기간인 10월 4일 자정부터 10월 7일까지는 고속도로 통행료를 전액 면제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8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 참석하여 현안 관련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사진= 뉴스1) |
구 부총리는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내수 반전을 국민이 더 체감하고, 피부로 느낄 수 있는 민생 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반기 모든 정책적 노력을 강화하겠다"며 이처럼 밝혔다.
구 부총리는 "전반적인 소비자 물가는 2% 내외로 관리되고 있지만 농축수산물, 가공식품, 외식 물가는 높은 것이 사실"이라며 "세 가지 분야에 정책적인 노력을 집중해서 물가를 안정시키겠다"고 말했다.
이어 구 부총리는 추석 성수품 물가 안정을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의 공급과 할인 지원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배추, 무, 소·돼지고기, 고등어 등 21대 성수품은 역대 최대인 17만 2000톤을 공급한다.
정부 지원을 통해 전통시장에서 성수품을 구매할 경우 최대 50%까지 할인받을 수 있도록 하고, 추석 선물 세트도 최대 50%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도록 재정을 지원할 방침이다.
아울러 감자, 냉동 과실 등 식품 원료 6종을 할당관세 적용 품목에 추가해 물가 안정을 꾀한다.
구 부총리는 "성수품 가격 수급 동향에 대해서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점검해 바가지요금이나 유통 과정에 불합리한 점, 불공정 행위가 없도록 관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정부는 민생 부담 경감을 위해 명절 시기를 맞아 소상공인·중소기업에 역대 최대인 43조 2000억 원의 자금을 지원하고, 서민금융도 1000억 원 이상 추가 공급한다. 성수품 구매를 위한 대출을 확대하고, 점포당 최대 1000만 원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온누리상품권 사용에 대한 현장 환급 제도도 도입한다. 금액별로 3만 4000원~6만 7000원은 1만 원, 6만 7000원 이상은 2만 원을 환급할 예정이다. 공공배달앱을 통한 할인도 확대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E-9 비자 요건 완화를 통해 외식업 소상공인의 비용 절감도 추진할 예정이다.
지방 중심의 내수 활성화 방안도 추진된다. 오는 22일부터 4조 7000억 원 규모의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고, 특별재난지역 숙박쿠폰 15만 장을 발행하는 등 소비 인센티브를 확대한다. 근로자 휴가 지원도 15만 명에서 17만 명 규모로 늘릴 예정이다.
또한 10조 원 규모의 지역사랑 상품권을 발행하고 할인율도 기존보다 늘린다. 스포츠 관람 쿠폰 지급도 기초연금 수급 대상자에서 65세 이상 전체로 확대한다.
구 부총리는 "전시 공연 쿠폰도 발급 횟수를 확대하고 비수도권 할인액도 1만 원에서 1만 5000원으로 올릴 예정"이라며 "추석 연휴 기간인 10월 4일 자정부터 10월 7일까지는 고속도로 통행료를 전액 면제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