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운용사 백의관음보살후불도’ 충북 문화재자료 지정

충북 / 장현준 기자 / 2021-03-12 08:13:55
  • 카카오톡 보내기
1904년 금호당 약효가 그려… ‘후불도 격을 높인 작품’

[프레스뉴스] 장현준 기자= 충북도는 12청주 운용사 백의관음보살후불도를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97호로 지정 고시했다.

 

청주 운용사 백의관음보살후불도(淸州 雲龍寺 白衣觀音菩薩後佛圖)’는 청주 운용사 약사전에 봉안된 불화로, 관음보살을 주존으로 표현했던 19세기 말 도상과 형식을 적극적으로 계승발전해 후불도로서 격을 높인 의미 있는 작품이다.

 

불화를 보면 중앙에 커다란 원이 있고 원 안에 백의관음보살을 주존으로 표현했다. 백의관음보살은 화불이 든 보관을 쓰고 좌우가 벌어진 너른 암반 형태의 보타낙가산*(寶陀洛伽山관세음보살이 거주하는 산으로 범어 포탈라카(potalaka)를 음역)에 반가유희좌(半跏遊戱坐한쪽 다리는 곧추세우고, 다른 한쪽 다리는 대좌 아래로 내려뜨린 자세)로 앉아 있다.

 

보타낙가산 정상 좌우에는 버들가지가 꽂힌 정병과 바위에서 솟은 대나무가 있고, 백의관음보살이 앉아 있는 곳의 좌우 일렁이는 파도 위에는 파란 새를 든 선재 동자와 용 뿔과 구슬을 받치고 있는 용왕들이 표현돼 있다.

 

관음보살 주변에는 4명의 보살과 8명의 제자, 사천왕이 있으며 불화 상단 중앙에는 6명의 타방불(他方佛)이 그려져 있다.

 

청주 운용사 백의관음보살후불도는 금호당(錦湖堂) 약효(若效)1904년 청주 보살사에 봉안하기 위해 그렸다.

 

금호당 약효는 19세기 말 우리나라 불교계를 대표하는 화승 중 한 명으로 입적하기 4년 전인 1924년까지 많은 불화를 제작했다.

 

도 관계자는 이번에 문화재자료로 지정한 청주 운용사 백의관음보살후불도를 해당 시군 및 소유자(관리자) 등과 적극적으로 협조해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