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들 키 검사는 언제 해야할까요?
- 칼럼 / 에이스병원 / 2020-08-10 15:13:46
부모님들이 자녀의 키에 대해서 걱정을 하는 경우가 많다. 왜냐하면 항상 크다 작다의 기준이 남과 비교가 되기 때문이다. 키가 크면 보기에도 좋지만 실제로 미국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성공한 사람들이나 대통령 및 장군들의 키가 평균 키 이상이라고 발표가 난 만큼 사회적으로도 키가 큰 것은 유리 할 수도 있다.
그럼 키는 주로 유전적 요소와 환경적 요소 중에 어느 쪽이 더 큰 영향을 끼칠까?
우리나라 1980년대 남자는 170cm 여자의 경우 157cm 정도였지만 2000에는 남자 174cm 여자의 경우 161cm로 점점 평균 키가 커지는 추세이다. 유전적 요소는 60- 80%% 정도, 반대로 환경적 요인은 20- 40% 자매 중 키 작은 사람과 큰 사람이 있는 경우가 있는 것이 하나에 예가 되겠다.
어릴 때 얼마가 키가 클 것인지 예측 하는 것이 중요한데 대강 계산을 하는 방법은 아들이 경우 부모 키 평균(아빠 키+엄마 키를 합한 후 2를 나누고) +10cm딸의 경우 부모 평균 키에서3cm를 뺀 숫자이다. 이 방법은 아주 정확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병원에서는 다른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주로 손과 손목에 있는 성장판을 이용하는 방법인데 태너-화이트하우스(Tanner-Whitehouse) 방법으로 1972년 태너-화이트하우스에 의해서 장기간 어린이들의 키를 추적하여 만들어졌다.
왼손과 손목의 수근골, 수지골, 요골과 척골의 원위부의 총 20개의 골을 각 모양과 밀도를 분석하여 분석한다. 13개의 길이 성장을 하는 골단판의 모양 그리고 어머니 키와 아버지 키를 넣으면 자동적으로 현재에 키 평균과 향후에 얼마나 자라는지 자동으로 계산해준다. 너무 어린 나이에는 정확하지 않으니 초등학교 2학년에서 5학년정도에 받는 것이 좋다.
우리의 몸은 어릴 때 1-2세에는 12-13cm 2세부터 사춘기까지 매년5-6cm정도 일정하게 자라는데 만약 이렇게 자라지 않는 경우와 100명중 3명이내로 키가 작을 경우는 키 성장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니 병원에 내원하여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