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리보쌤 이창민 강사의 교육칼럼] 자기주도학습의 키 포인트 '실행유지'는 '동기'로부터 유발된다

칼럼 / 곽정일 / 2018-05-31 20:55:01
  • 카카오톡 보내기
(사진=게티이미지)

(이슈타임 통신)곽정일 기자="Do, or do not, There is no 'try'."


어디서 많이 들어본 대사죠? 영화 '스타워즈 제국의 역습'에 나오는 마스터 요다의 대사입니다. 해석해보면 "해보는 것이 아냐, 하거나, 안 하느냐야. '해본다'는 것은 없어"라는 뜻으로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지난번 칼럼엔 자기주도학습의 기본 내용 중 계획에 대해 알아봤죠. 자 계획을 알아봤습니다. 그렇다면 그 다음은 무엇일까요? 바로 실천입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자기주도학습에 있어서 중요한 실행 유지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작심삼일'이란 말은 다들 알 거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계획을 세우고 하루하루 지키려고 하지만 잘 안되는 것이 현실입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의 모습을 보면 하루는 계획을 세우고 이틀은 실행을 하고 나머지 27일은 노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그렇다면 어떤 이유가 작심삼일을 야기하는 것일까요?


바로 동기에 대한 부분이 취약하다는 것입니다.?


그럼 동기는 무엇일까요? 먼저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동기란?행동을 일으키게 하는 내적(內的)인 직접요인(直接要因)의 총칭입니다. 즉, 나의 마음속 에서 일어난 요인입니다.


따라서 동기는 목표 지향적 활동이 유발되고 지속되도록 해줍니다.


크게 외적 동기와 내적동기로 나눠지는 동기는 어느누구에게나 존재하며 각자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외적 동기는 ▲ 칭찬 ▲ 성적 ▲ 특혜 ▲ 자격증 등 물질적인 보상에서 오는 것을 말하고, 내적 동기는 ▲ 만족 ▲ 경쟁력 ▲ 흥미 ▲ 학습 ▲ 도전과 같이 스스로 원해서 행동에 참여하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사람들은 내적 동기가 지속돼야 좋은 것으로 믿고 있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그러나 실상은 외적 동기와 내적 동기가 적절히 배합돼 시너지효과를 낼 때 진정한 동기의 큰 힘이 발휘 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동기는 왜 학습의 실행과 지속성에 영향이 있는 걸까요? 바로 동기가 가지고 있는 특성 때문입니다.


애크런대학교 교육학과 전임교원인 케이알더만(Alderman, M. Kay)의 성취동기이론에 따르면 동기가 세 가지 기능을 한다고 강조합니다.
1)행동에 활력을 주거나 행동을 활성화 한다. 2)행동에 방향성을 제시한다. 3)행동의 지속성을 조절한다.


동기는 위와 같은 기능을 통해 계획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것입니다.


동기부여가 잘 된 학생의 특징은 두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학교에 대한 긍정 및 학교생활 만족도↑ 둘째, 어려운 문제들을 포기하지 않는 것 등 입니다.


이 같은 특징들은 결국 꾸준한 실행에 도움을 주고 본인이 원하는 결과로 가기 위한 건강한 과정을 이루는 발판이 됩니다.


동기는 꼭 공부하는 학생들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닙니다. 성인들에게도 마찬가지로 똑같은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멈추지 말고 한 가지 목표에 매진하라, 그것이 성공의 비결이다.'


러시아의 유명한 발레리나인 안나 파블로바의 말입니다.


멈추지 않고 목표로 갈 수 있는 힘의 원천인 지속적인 동기부여를 통해 각자의 목표를 성취하는 삶이되기를 바랍니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