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과학기술, 중국에 쫓기고 있다

경제/산업 / 박혜성 / 2015-05-04 16:16:21
  • 카카오톡 보내기
기술 격차 2012년 1.9년에서 지난해 1.년으로 0.5년 감소
한국과 중국의 과학기술 격차가 점점 좁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GettyImagesBank멀티비츠]

(이슈타임)박혜성 기자=우리나라와 중국의 기술수준 격차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일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은 2014년도 기술수준평가 를 발표하고 우리나라와 중국의 전체 기술수준 격차가 2012년 1.9년에서 지난해 1.4년으로 0.5년 좁혀졌다고 밝혔다.

다만 가장 앞서 있는 미국과 우리나라의 기술 수준 차이는 4.4년으로 지난 2년간 0.3년 줄었다.

정부의 기술수준평가 는 과학기술 기본계획상 10대 분야 120개 국가전략기술의 수준을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중국과 비교한 것이다.

미국의 기술 수준을 기준으로 각국의 기술 수준을 미국의 몇% 로 표시한다.

이번 조사에서 우리나라의 전체 기술수준은 미국(100%) EU(95.5%) 일본(93.1%)에 이어 78.4%로 평가됐다.

중국은 69.7%였다.

우리는 중국에는 불과 1.4년 앞서고 있으며 EU에는 3.3년, 일본에는 2.8년 뒤지고 있다.

중국은 특히 기계 제조 공정과 전자 정보 통신 분야에서 격차가 0.6년에 불과할 정도로 우리나라 뒤를 바짝 쫓아오고 있다.

항공 우주 분야는 중국(81.9%)이 이미 우리나라(68.8%)를 크게 앞서고 있다.

120개 전략기술 가운데 중국이 우리나라에 앞선 것은 18개로 지난 2012년 13개에 비해 5개 많아졌다.

한편 세계 최고 수준에 근접한 국내 기술은 인간친화형 디스플레이 기술(91.2%) , 초정밀 디스플레이 공정 및 장비기술(90.8%) , 스마트 그리드 기술(90.3%) 등이다.

재난 재해 안전(73.0%) 분야는 일본의(94.3%), EU(92.4%)에 비해 크게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