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세 고액·상습 체납자 8000여명...내달부터 세관서 물품 압류

대전/충남/세종 / 김교연 / 2022-09-27 16:13:22
  • 카카오톡 보내기
지자체별 체납인원 및 체납액 경기도>서울>경남>충남>인천 순

[프레스뉴스] 김교연 기자=지방세를 1년 넘게 1000만원 이상 체납한 고액·상습 체납자가 지난해 8000명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청은 내달부터 통관 단계에서 이들이 들여오는 물품을 압류할 예정이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강준현 의원(더불어민주당, 세종을)이 관세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관세청에 위탁한 고액·상습 체납자는 총 8364명이었다.

이들은 체납일로부터 1년이 지나도록 지방세 1000만원 이상을 내지 않아 지난해 신상이 공개된 체납자들이다. 체납 금액은 총 4102억이었다.

지자체별로는 경기도가 2494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1127명, 713억), 경남(550명, 223억), 충남(522명, 190억), 인천(478명, 194억) 등 순이었다.

체납 금액은 경기(1322억), 서울, 광주(248억, 332명), 경남, 경북(218억, 436명), 인천 등 순으로 많았다. 대전은 218명에 67억, 세종은 41명에 16억, 충북은 348명에 100억원대 였다.

개정된 지방세징수법에 따르면 지자체가 관세청에 체납처분을 위탁하면 세관은 체납자가 입국할 때 휴대한 고가품을 검사 현장에서 압류하고 해외 직구로 산 수입품의 통관을 보류할 수 있다.

관세청은 지난 7월 지자체로부터 지방세 체납자 명단을 넘겨받고 현재 관련 업무 수행을 위해 전산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내달부터 지방세 체납자 수입 물품을 압류·보류하는 업무를 시작한다.

관세청은 고액·상습 지방세 체납자의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완비한 뒤 내년부터 올해 공개명단을 포함해 신상 공개자 전체를 대상으로 위탁업무를 본격적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강준현 의원은 "지방정부의 재정이 열악한 상황에서 지방재정 확보 측면에서 전방위적인 노력을 다해 체납액을 환수해야 한다"며 "유리 지갑이라 불리는 근로소득자들과의 조세 정의, 조세 형평성 차원에서도 지방세 고액·상습 체납자의 장기적인 체납행위는 근절돼야 한다"고 말했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