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수 칼럼] 부산일보도 조선일보 식이면 안 된다.

칼럼 / 김상수 / 2023-09-01 18:48:15
  • 카카오톡 보내기
▲사진 - 일본국회도서관.
[칼럼] 언론인 김상수= 일제 침략 시기 부산에서 1914년 12월 1일부터 1944년 3월 31일까지 발행된 일본어 신문 '부산일보'(釜山日報), 1946년 5월 29일 적산(敵産)인 부산일보 사옥(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4가)의 관리권이 박수형(朴洙衡)에게 불하(拂下)되었다. 

 

이후 관리권을 획득한 박수형이 하원준의 자금 출자를 받아 1946년 9월 10일 『부산 일보』를 창간한다. 『부산 일보』는 일제 강점기 부산 지역의 일본인 발행 언론이었던 일문지(日文紙) 『부산 일보』의 제호(題號)와 제자(題字)를 그대로 이어 사용하였다.


부산일보는 '오염수 방류 찬성' 토론회를 개최하여 부산 시민들을 헷갈리게 하면 안 된다. 일본의 후쿠시마 핵폐기수 해양 투기 사태는 한국인들에게 경각(警覺)의 문제다. 부산 시민들에게는 더하다.

조선일보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해 일관되게 찬성하며, 안전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조선일보 <태평로/과학은 사라지고 이념만 남았다>(4월 7일 김광일 논설위원)는 음모론 사례에 대해 언급하며 “음모론은 포퓰리즘과 섞일 때가 많다”고 주장했다. 

 

“후쿠시마 오염 처리수가 우리 해안에 도달하기까지 걸리는 시간과 세슘이나 삼중수소 농도, 이것을 측정하는 것은 과학”이지만 “포퓰리즘 음모론자는 과학을 이념 문제로 만들어 버린다”고 왜곡한다. 

 

조선일보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해 2년 전만해도 반대를 하다가 윤석열 정부 이후 태도를 180도 바꿔 "후쿠시마 핵폐기수가 안전"하며 자신들의 주장은 ‘과학’이며 반대 논리는 ‘괴담’이고 ‘가짜뉴스’라며 비난 한다.

부산일보가 '오염수 방류 찬성' 토론회를 개최하면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가 안전하고 주장하는 김종덕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원장, 정용훈 KAIST 원자력⋅양자공학과 교수, 목종수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위생가공과장, 서성봉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박사 등을 참여시켜, ‘일본 원전 오염수 방류에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는 것은 바른 태도가 아니다. 

 

특히 김종덕 원장과 정용훈 교수는 여당인 국민의힘이 만든 <우리 바다 지키기 검증 TF>에 참여해 왔다.

부산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한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지역이어서 부산 시민의 걱정이 가파르다. 

 

부산의 언론사 주최로 열리는 토론회는 오염수 방류를 객관적으로 부산 시민의 입장에서 토론해야 할 의무가 있다. 그런데 그저 안전하다는 편향된 토론을 진행한 것은 지역 대표 언론지로서는 옳지 못하다. 무해하다면 왜 일본 국내에 방류하거나 농업·공업용수로 쓰지 않는가?


부산일보도 조선일보 식이면 안 된다. 

 

'이상한 일본인'이 만들던 식민지 시기 그 부산일보가 아니지 않는가?

 

 

 

외부 필진 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