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십자 "10월 추가상봉 추진"...확대되는 '남북교류'

기획/특집 / 곽정일 / 2018-08-27 13:14:57
  • 카카오톡 보내기
26일 오후 금강산 호텔에서 열린 2차 이산가족 상봉이 끝나고 헤어지는 가족의 모습. <사진=KTV 갈무리>
(이슈타임)곽정일 기자=대한적십자자사가 연내 추가 이산가족 상봉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남북교류 확대에 관심이 쏠리는 모양새다.

 

박경서 대한적십자사 회장은 지난 25일 2차 이산가족 단체 상봉 종료 후 이산가족면회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박용일(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 북측 단장과 21차 행사와 같은 방식의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올해 안에 한 번 더 합의하기로 협의했다"며 "구체적 날짜 등은 국장급 실무회담에서 논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어 "규모는 대강 이번과 비슷한 규모로 할 것"이라며 "제 생각에는 연내에 한다고 했지만, 날짜 등을 고려할 때 잘되면 10월 말께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 이산가족 정례화 제1과제, 시스템 정비작업

 

전문가들은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 시스템 정비작업을 꼽는다. 남한은 현재 이산가족 등록시스템 체계가 잘 갖춰진 반면 북한은 아예 시스템 자체가 부재한 것이다.

 

효율적인 이산가족 상봉을 위해서는 현재 북한에 남아있는 이산가족에 대한 조사와 동시에 남측의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자료와의 연계작업이 필요하다.

 

남북의 활발한 교류는 물론 시스템 부재를 극복할 수 있도록 북측에 지원을 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이승현 국회 입법조사처 정치행정조사실 외교안보팀 입법조사관은 "이산가족 실태조사를 위해 북한에 필요한 장비와 인력을 남측이 지원하는 것을 협의해볼 만 하다"며 "시범적으로 남한과 북한 일부 지역에 한해 고향 방문을 시행한 후 북한지역 관광과 연계해 안정적인 고향 방문 상품을 개발하는 방안도 생각해볼 만하다"고 주장했다.

 

◇ 능동적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통해 지속 가능한 대북 정책 추진

 

일각에서는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의 근간에는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의 능동적 접근을 통해 지속 가능한 대북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박명규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원장은 "실질적인 통일준비로써 `북한국제화`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능동적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가동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원장은 이를 위한 노력으로 ▲ 비핵화 ▲ 전쟁반대 ▲ 국제협력 ▲ 대화해결 등의 명확화 및 6자회담과 9.19공동성명의 중요성의 재확인 등을 제시했다.

 

최완규 북한대학원대 총장은 "지속 가능한 대북정책을 위해서는 국회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국회에 남북관계에 대한 기구를 설치할 것을 제안했다.

 

최 총장은 "국회 차원에서 남북관계 및 통일문제와 관련한 상임위원회 또는 상설특별위원회를 설치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대북정책 추진의 국민적 지지기반과 경제력을 공고화하고 안보와 민족우선주의 패러다임에 기초한 대북정책을 구분하면서도 병존시켜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