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사해의 위기
- 국제 / 채정병 특파원 / 2021-01-13 04:48:55
50년 후 지금의 사해는 없을지도...
▲ 사해 해변 바위에 소금결정이 붙어 있다. 높이 1미터가 채 안되는 이같은 바위는 불과 일년전 물속에 잠겨 있었다. |
중동 물 포럼의 회장이자 전 요르단 물 농업부 장관인 하짐 나세르는사해가 말라가는 가장 큰 원인은 이스라엘이 1964년 사해로 들어오는 요르단강 물줄기를 일방적으로 전환한 것에 기인한다고 말한다. 그는 수치를 제시하며 1964년 이전에는 물 유입량이 연간 13억 입방미터에 달했지만, 이후에는 강수량이 가장 좋은 해라 할 지라도 2억 입방미터를 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
나세르 전 장관은 사해로의 추가적인 물 공급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다면, 향후 50년 내에 사해는 거의 사라져 매우 작고 극도로 짠 호수로 전락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사해의 수위 하락은 단순히 호수의 면적이 작아지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환경변화로 인한 재앙 발생 가능성을 엄중히 경고한다. 그 한 예로, 낮아진 사해는 주변 지하수에 영향을 미쳐 강한 침식 작용으로 인근 계곡들을 따라 붕괴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 한 남성이 사해에서 수영을 즐기고 있다. 염도가 바닷물의 5배에 달해 물속에 들어가면 저절로 몸이 뜨는 경험을 할 수 있다. 사해의 물과 머드에는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피부병 치료를 위해 요양객들이 끊임없이 찾는다. |
사해는 요르단과 이스라엘 양국 모두 관광과 산업에 미치는 파급력이 엄청나기에 '사해 살리기 프로젝트'는 일찍부터 선택이 아닌 필수과제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정치적, 재정적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실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한 여성이 바위에 앉아 사해를 바라보고 있다. 사해는 훌륭한 휴양지로써 관광객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
당사국인 요르단과 이스라엘의 방치, 나아가 국제사회의 무관심이 계속된다면, 머지 않은 미래에 천연자원의 보고 사해(死海)는 그 이름처럼 죽어 없어진 호수로 기록될 것이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