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돈 논란 휩싸인 대진 침대, 단순 업체나 제품군의 문제?
- 경제/산업 / 곽정일 / 2018-05-23 15:22:51
사진은 내용과 관련없음.(사진=게티이미지) |
(이슈타임 통신)곽정일 기자=미국 환경보호청이 비흡연자의 폐암 유발에 주요한 요인 중 하나로 꼽은 인체발암물질 라돈, 무색무취의 기체물질인 라돈이 `대진 침대`에서 다량으로 검출됐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국민들은 `제2의 옥시사태`의 공포를 떠올렸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 15일 대진침대가 판매한 침대 매트리스 7종에 대해 수거명령을 내렸다. 해당 제품들은 매트리스 속커버나 스폰지에 모자나이트가 포함돼 연간 피폭선량이 1 밀리버시트(mSv)를 초과하는 것으로 조사된 것이다.
문제가 된 제품은 `그린헬스2`, `네오그린헬스`, `뉴웨스턴슬리퍼`, `모젤`, `벨라루체`, `웨스턴슬리퍼`, `네오그린슬리퍼` 등이다.
그러나 이번 라돈 방사능 침대는 대진 침대 하나가 아닌 음이온 방식을 사용하는 모든 침대 군이 문제라는 주장이 업계 관계자의 입에서 나왔다.
익명을 요구한 침대업계 종사자 K씨는 이슈타임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음이온 방출기능이 있는 침대에서는 모두 라돈 방사능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음이온 방출기능이라는 것이 참숯 기능을 넣는 것"이라며 "참숯을 넣어 제습 효과 및 향균·탈취 효과를 넣기 위해 대부분이 사용한다"고 전했다.
이어 K씨는 "문제는 참숯을 매트리스에 넣는 방식이 자연적으로 스며들게 하는 것이 아니라 인위적으로 라돈성분이 나오는 것을 섞어 뿌려서 만든다. 이는 저가침대 고가침대를 불문하고 대부분 사용하는 방식"이라며 "음이온 매트리스를 홍보하는 업체들은 모두 다 라돈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 것이라고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K씨는 정부가 관리책임을 모면하기 위해 기업에 뒤집어씌우는 것이라며 쓴소리를 내기도 했다.
그는 "제품을 만든 후 소비자에게 팔기 전 국가통합인증마크(KC) 등 제품에 이상이 없다는 모든 인증서를 다 받는다"며 "이번에 터진 라돈 문제는 국가에서 시행하는 검사항목에 라돈을 검사하는 항목이 미비한 것이 문제"라고 주장했다.
"국가기관 인증 항목에 유해물질 테스트라는 것이 있는데 여기에 라돈에 대한 측정 자체가 없다"고 밝힌 K씨는 "(라돈이) 기준에 있다면 누가 쓰겠는가 안 쓴다"라며 "국가기관 검사에서 유해물질이 나오지 않는다는 판정을 받았으니 (음이온 방식을) 쓴 것인데 이제 와서 문제가 되니 업체에 책임을 미루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지적에 대해 국가기술표준원 관계자는 이슈타임과의 통화에서 "제품관리에 관해서는 법률이 부처별로 다르기에 별도 법률로 갖고 있다. 즉 제조사는 그 부서의 법률을 모두 맞춰야 한다"며 "이번에 문제가 된 라돈 방사능의 경우 `생활 주변 방사능 안전관리법`이라는 게 따로 있어서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이를 통괄한다. 거기에 통과를 해야 판매가 가능한 것"이라고 반론을 제시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인터뷰에서 "라돈에 대해서는 환경부에서 실내 공기 질과 관련해서 관리를 하는 사항이라 제품에 대한 라돈 조사를 한 적은 없다"고 밝혔다.
이어 `방사능 사전검사제도`시행 여부에 대해 "법적으로 아직 사전조사제도가 규정돼 있지 않다"며 "다만 이번에 문제가 된 모자나이트 등의 방사능 유발물질에 대해 지속적 관리를 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결국 방사능의 노출의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아닌 사후에 처리한다는 것이다.
이에 서울에 사는 김영수(44)씨는 "위험성에 대한 평가를 정부에서 관리하고 국가에서 안전하다고 인증한 제품에 대해 믿음을 가져야 하는 것이 정상 아닌가, 사후약방문도 아니고 어떻게 안심하고 물건을 구매하나"라며 고개를 저었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