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부산서 '작은빨간집모기' 발견
- 경제/산업 / 장동휘 / 2018-04-03 10:45:34
질병관리본부가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했다. [사진=JTBC뉴스 캡처] |
(이슈타임 통신)장동휘 기자=질병관리본부가 3일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했다.
지난 1일 올해 처음으로 부산에서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확인된 데 따른 조치다.
보건당국은 작은빨간집 모기가 처음 발견되면 주의보를 발령하고, 채집된 모기에서 일본뇌염 바이러스가 분리됐을 때 경보를 발령한다.
질병관리본부는 "현재 부산 이외 지역에서는 일본뇌염 매개모기가 아직 발견되지 않았지만 전국 시·도 보건환경연구원과 권역별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 거점센터 등 47개 조사 지점에서 공동으로 감염병 매개모기 감시사업을 수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일본뇌염 환자의 90%가 40세 이상으로 나타나 해당 연령층에서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동물 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소형 모기로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한다.
일본 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매개모기에 물리면 99%는 증상이 없거나 열을 동반한 가벼운 증상을 보이지만 일부에서는 급성뇌염으로 진행돼 그 중 20~30%는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작년 일본뇌염 환자 9명 가운데 2명이 사망했다.
감염 초기에는 고열, 두통, 구토, 복통, 지각이상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급성기에는 의식장애, 경련, 혼수,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다행히 일본뇌염은 백신으로 예방 가능하다. 일본뇌염 국가예방접종 지원 대상이 되는 생후 12개월~만 12세 아동은 표준일정에 따라 예방접종을 하고 성인도 면역력이 없고 모기 노출에 따른 감염위험이 큰 사람은 예방 접종을 하는 것이 좋다.
질병관리본부는 "봄철 기온 상승에 따라 월동모기의 활동이 빨라지고 집중적 감시 결과 2015년 이후 일본뇌염 매개모기 확인시점이 빨라지고 있다"며 "야외활동이나 가정에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모기 회피 요령과 방제요령을 준수해 달라"고 강조했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