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 9월 동행축제 매출, 6,634억원 달성
- 경제일반 / 프레스뉴스 / 2025-10-14 18:50:08
온라인 6,307억원, 오프라인 327억원 등 직접매출 6,634억원 기록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1일부터 시작된 ‘9월 동행축제’(9.1~30)가 30일간 6,634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온라인판매전 6,307억원, 오프라인판매전 327억원의 직접 매출 외에도 온누리상품권 4,856억원, 지역사랑상품권 2,412억원이 판매되어 내수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동행축제는 내수소비활성화 및 소상공인 매출 증진을 목적으로 온·오프라인에서 전개되는 전국 단위의 소비촉진 행사이다. 이번 9월 축제는 민생회복소비쿠폰 지급과 더불어 되살아나는 소비 분위기 확산을 위해 전국적인 연계행사와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했다.
주목해야 할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 온라인 판매전
온라인 판매전은 e커머스, TV홈쇼핑, 전통시장몰 등에서 2.7만개사가 참여하여 총 6,307억원의 매출 성과를 달성했다.
롯데온에서 진행된 ‘동행제품100’ 기획전은 동행축제 대표 온라인 판매전으로 자리매김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8월 30일부터 9월 30일까지의 매출 성과 중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은 전년 동기 대비 26배(6천7백만원),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는 전년 동기 대비 13배(6천2백만원) 이상 매출 증가를 기록하며 롯데온 입점 이후 최고 실적을 기록하는 등 온라인 판로 확대의 성공 사례를 보여주었다.
쿠팡에서 진행된 동행제품100 기획전 또한 이목을 끌었다. 9월 1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된 이번 기획전에서는 다정한 마켓(반려동물 간식껌)이 6천4백만원, 부쉬맨(워터프루프 선크림)이 6천만원의 매출을 올리며 동행축제 대표상품으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했다.
■ 오프라인 판매전
오프라인 판매전에서는 144곳의 지역행사와 정책매장 등을 통해 총 327억원의 매출 성과를 달성했다.
특히 9월 동행축제가 전국적인 소비 회복과 소상공인 활력 제고를 목표로 하는 만큼 비수도권 지역 및 인구감소 지역의 상권과 소비자 접점을 넓히기 위해 해당 지역의 행사 비중을 늘렸다.
제주개막식과 롯데백화점 상생판매전의 매출성과도 눈여겨 볼 만하다. 이번 개막식은 APEC중소기업장관회의 연계행사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진행(8.30~9.5)되어 총 1.8만명이 방문하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이틀간(8.30~8.31) 열린 판매전에는 제주지역 소상공인 51개사가 참여해 8천5백만원의 매출을 달성했으며, 이 가운데 8개 업체는 첫날 완판 행진을 기록했다.
롯데백화점(잠실점)에서 이뤄졌던 상생판매전 역시 열띤 호응 속에 3일간(9.9~9.11) 1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소상공인 50개사가 참여한 상생판매전은 제품 구입 시 온누리상품권을 증정하는 이벤트를 진행하여 대기업-소상공인-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적 유통구조 기반을 마련했다.
■ 전통시장·골목상권 소비촉진 이벤트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매장의 소비 촉진을 위해 마련된 ‘상생소비복권’과 민간기업에서 주도한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 또한 이목을 끌었다.
상생소비복권은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등의 매장에서 5만 원 이상 카드 결제 시 추첨을 통해 총 10억원 규모의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지급하는 이벤트다. 9월 1일부터 10월 12일까지 진행된 이번 이벤트는 총 1,000만명이 응모했으며 10월 말 당첨자 발표 후 11월 중 경품을 지급할 예정이다.
7개 TV홈쇼핑사(공영홈쇼핑·홈앤쇼핑·NS홈쇼핑·롯데홈쇼핑·CJ홈쇼핑·현대홈쇼핑·GS홈쇼핑)는 상생 기획전을 진행하고 경품 이벤트 및 적립금 추가 적립 등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제품 판매 확대를 위해 다양한 특별 혜택을 제공했다. 7개 카드사(비씨·KB국민·NH농협·현대·신한·하나·삼성) 또한 백년가게와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캐시백 및 할인 혜택을 강화하여, 골목 상권 활성화에 앞장섰다.
배달의민족은 개막식이 열린 제주와 연계하여 제주 전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포장 주문 5천원 할인쿠폰을 발급했다. 아울러 소외된 지역 상권의 회복을 위해, 최근 집중호우의 피해를 입은 약 30여곳의 특별재난지역 소재 가게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장주문 5천원 할인쿠폰을 추가로 제공했다.
최원영 소상공인정책실장은 “이번 9월 동행축제에 참여해주신 국민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 여러분의 따뜻한 소비는 소상공인에게 작은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라며 “다가오는 10월 말, 정부는 동행축제·코리아 세일 페스타·듀티프리페스타 등 기존의 할인 축제를 통합하여 대규모 국가단위 할인축제인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10.29~11.9)을 마련할 예정이며, 쇼핑·여행·문화 다채로운 소비 혜택을 통해 국민 여러분께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꼼꼼히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 |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1일부터 시작된 ‘9월 동행축제’(9.1~30)가 30일간 6,634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온라인판매전 6,307억원, 오프라인판매전 327억원의 직접 매출 외에도 온누리상품권 4,856억원, 지역사랑상품권 2,412억원이 판매되어 내수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동행축제는 내수소비활성화 및 소상공인 매출 증진을 목적으로 온·오프라인에서 전개되는 전국 단위의 소비촉진 행사이다. 이번 9월 축제는 민생회복소비쿠폰 지급과 더불어 되살아나는 소비 분위기 확산을 위해 전국적인 연계행사와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했다.
주목해야 할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 온라인 판매전
온라인 판매전은 e커머스, TV홈쇼핑, 전통시장몰 등에서 2.7만개사가 참여하여 총 6,307억원의 매출 성과를 달성했다.
롯데온에서 진행된 ‘동행제품100’ 기획전은 동행축제 대표 온라인 판매전으로 자리매김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8월 30일부터 9월 30일까지의 매출 성과 중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은 전년 동기 대비 26배(6천7백만원),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는 전년 동기 대비 13배(6천2백만원) 이상 매출 증가를 기록하며 롯데온 입점 이후 최고 실적을 기록하는 등 온라인 판로 확대의 성공 사례를 보여주었다.
쿠팡에서 진행된 동행제품100 기획전 또한 이목을 끌었다. 9월 1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된 이번 기획전에서는 다정한 마켓(반려동물 간식껌)이 6천4백만원, 부쉬맨(워터프루프 선크림)이 6천만원의 매출을 올리며 동행축제 대표상품으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했다.
■ 오프라인 판매전
오프라인 판매전에서는 144곳의 지역행사와 정책매장 등을 통해 총 327억원의 매출 성과를 달성했다.
특히 9월 동행축제가 전국적인 소비 회복과 소상공인 활력 제고를 목표로 하는 만큼 비수도권 지역 및 인구감소 지역의 상권과 소비자 접점을 넓히기 위해 해당 지역의 행사 비중을 늘렸다.
제주개막식과 롯데백화점 상생판매전의 매출성과도 눈여겨 볼 만하다. 이번 개막식은 APEC중소기업장관회의 연계행사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진행(8.30~9.5)되어 총 1.8만명이 방문하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이틀간(8.30~8.31) 열린 판매전에는 제주지역 소상공인 51개사가 참여해 8천5백만원의 매출을 달성했으며, 이 가운데 8개 업체는 첫날 완판 행진을 기록했다.
롯데백화점(잠실점)에서 이뤄졌던 상생판매전 역시 열띤 호응 속에 3일간(9.9~9.11) 1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소상공인 50개사가 참여한 상생판매전은 제품 구입 시 온누리상품권을 증정하는 이벤트를 진행하여 대기업-소상공인-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적 유통구조 기반을 마련했다.
■ 전통시장·골목상권 소비촉진 이벤트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매장의 소비 촉진을 위해 마련된 ‘상생소비복권’과 민간기업에서 주도한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 또한 이목을 끌었다.
상생소비복권은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등의 매장에서 5만 원 이상 카드 결제 시 추첨을 통해 총 10억원 규모의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지급하는 이벤트다. 9월 1일부터 10월 12일까지 진행된 이번 이벤트는 총 1,000만명이 응모했으며 10월 말 당첨자 발표 후 11월 중 경품을 지급할 예정이다.
7개 TV홈쇼핑사(공영홈쇼핑·홈앤쇼핑·NS홈쇼핑·롯데홈쇼핑·CJ홈쇼핑·현대홈쇼핑·GS홈쇼핑)는 상생 기획전을 진행하고 경품 이벤트 및 적립금 추가 적립 등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제품 판매 확대를 위해 다양한 특별 혜택을 제공했다. 7개 카드사(비씨·KB국민·NH농협·현대·신한·하나·삼성) 또한 백년가게와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캐시백 및 할인 혜택을 강화하여, 골목 상권 활성화에 앞장섰다.
배달의민족은 개막식이 열린 제주와 연계하여 제주 전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포장 주문 5천원 할인쿠폰을 발급했다. 아울러 소외된 지역 상권의 회복을 위해, 최근 집중호우의 피해를 입은 약 30여곳의 특별재난지역 소재 가게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장주문 5천원 할인쿠폰을 추가로 제공했다.
최원영 소상공인정책실장은 “이번 9월 동행축제에 참여해주신 국민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 여러분의 따뜻한 소비는 소상공인에게 작은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라며 “다가오는 10월 말, 정부는 동행축제·코리아 세일 페스타·듀티프리페스타 등 기존의 할인 축제를 통합하여 대규모 국가단위 할인축제인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10.29~11.9)을 마련할 예정이며, 쇼핑·여행·문화 다채로운 소비 혜택을 통해 국민 여러분께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꼼꼼히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