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금융권, DSR로 조이자 취약차주 몰렸다

경제/산업 / 김혜리 / 2018-11-14 18:32:06
  • 카카오톡 보내기
박태준 실장 "금융안전망기구간 유기적 협조 필요…공동 대응해야"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슈타임)김혜리 기자=지난달 10조 이상 늘어난 전체 가계대출 중 2금융권대출이 큰 폭으로 증가한 데 위험성이 제기됐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10조4000억원 늘었다. 은행권이 7조7000억원, 제2금융권은 2조7000억원 늘었다. 

DSR(Debt Service Ratio, 총체적상환능력비율)은 연간 소득에서 모든 대출 원리금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뜻한다. 즉 대출자가 매년 갚아야 하는 원리금(원금+이자)을 연 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지난달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 폭 2조7000억원은 전년 동기 대비 4000억원 작지만, 7000억원 감소했던 전월(9월)보다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1금융권에 도입된 DSR 규제로 중·저신용자의 대출이 힘들어지자 제2금융권의 대출 수요가 늘며 `풍선 효과`가 발생한 것이다.

특히 2금융권의 기타 대출이 전년 동월 대비 700억원, 전월 대비 3조원 확대된 것으로 집계됐다. DSR 규제 전부터 취약차주의 `2금융권 쏠림 현상`이 제기된 후 가시적인 수치가 나온 것이다.

이처럼 2금융권에서 대출이 힘들어진 취약차주들이 2금융권으로 몰리자, 이 같은 위험에 선제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박태준 여신금융연구소 실장은 `제2금융권 가계부채 현황 및 위험요인 분석`에서 "현재 제2금융권 건전성과 자기자본비율은 양호하나,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은행권보다 저신용 차주 대출 비중이 높다"며 "대내외 경제여건이 악화했을 때 제2금융권 손실 흡수 여력이 낮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박 실장이 한국은행 자료를 재구성한 결과, 올해 2분기 기준으로 제2금융권으로 분류되는 비은행예금취급기관과 기타금융기관에서 이뤄진 가계대출을 합하면 728조2000억원이었다. 이는 전체 가계대출의 51.6%를 차지했다.

그는 "가계대출 관련 데이터베이스(DB)를 활용해 금융시스템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요인을 밀착 점검해야 한다"며 "금융안전망기구간 유기적인 협조를 통해 위기 가능성에 공동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금융당국은 취약차주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서민 금융 상품(새희망홀씨, 바꿔드림론, 사잇돌 대출, 징검다리론 등), 대출 금액 300만원 이하의 소액 신용 대출, 취약 차주 채무 조정 상품 등은 DSR 산출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밝혔다. 예·적금 담보 대출 등 담보가 확실한 대출도 예외로 두고 있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