곱게 보이지 않는 은행의 `이자 장사`

오피니언 / 김혜리 / 2018-08-01 15:29:02
  • 카카오톡 보내기
예대금리차 상승·가산금리 조작 위에 세워진 `1조 클럽`

(이슈타임)김혜리 기자=올해 상반기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KEB하나·우리)의 이자이익은 약 10조원으로, 은행별로 2조원대의 이자이익을 달성했다. 이를 바탕으로 4대 시중은행의 당기순익은 각각 1조원을 돌파하면서 실적 호황에 따른 '성과급 잔치'에 은행권을 보는 사회의 눈초리가 곱지 않다.


은행권의 `당기순익 1조 달성`은 금리 인상기에 예금금리보다 대출금리를 더 많이 올려 벌어들이는 `이자 장사`에서 비롯됐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경기 침체와 금리 상승으로 취약계층의 채무 부담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가계대출을 짊어진 은행이 예대금리차로 실적 잔치를 벌이는 것이 그 이유다.


실제로 한국은행이 발표한 `6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지난해 6월과 올해 6월의 예대금리차는 각각 2.27%와 2.35%로 0.08%포인트 상승했다.


여기에 지난 6월 일부 은행들이 가산금리를 조작한 사실이 드러나 공분을 샀다. 예대금리차는 점점 늘어나는 판국에 가산금리까지 조작했다니 시중은행을 바라보는 서민의 시선이 고울 수가 없다. 이 사건은 내부적으로 검토해 `자진 납세`형으로 이자를 환급한 몇몇 은행들에 의해 일단락됐다.


이 같은 비판을 의식한 것인지, 은행권에서는 지난 23일 올 하반기 신규 행원 채용 규모를 확대하고 7000억원 규모의 사회공헌 사업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최종구 금융위원장도 지난 30일 은행의 사회적 역할과 관련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많은 상황에서 은행권 수익이 은행권 내에서만 향유되는 것이 아니냐는 사회 전반의 비판적 인식에 귀 기울여야 한다"며 사실상 은행의 사회 환원을 주문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달 30일 서면브리핑을 통해 "대형은행의 규모와 실적에 알맞은 사회적 책임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지극히 상투적인 말이지만 들을 때마다 고개가 끄덕여지는 이유는, 지켜질 가능성이 희박한 탓일지도 모른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