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파괴 공작으로 수사 선상 오르는 이재용, `노조 없는 삼성` 비밀 풀리나
- 금융 / 곽정일 / 2018-04-30 15:35:08
| 삼상전재 홈페이지.(사진=삼성전자 홈페이지 캡처) |
(이슈타임 통신)곽정일 기자=삼성의 조직적 노조 파괴 공작의혹이 불거지면서 이재용 삼성 부회장이 수사 선상으로 다시 떠오르는 모양새다.
삼성의 노조 와해에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이 깊숙이 개입한 것이 확인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검찰은 이번 주 경총 핵심 관계자와 삼성그룹 임원들을 소환 조사한다는 계획이다.
MBC는 29일 검찰이 지난 26일 한국경영자총협회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했고 중요한 단서를 확보했다고 보도했다. 검찰이 확보한 한 박스 분량의 외장하드 증거물에서 삼성이 경총과 함께 움직여 노조 파괴를 위한 공작을 실행했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나온 것이다.
특히 경총이 노조와의 교섭 시작 전부터 `소진 정책`을 확립해 실행한 것에도 검찰은 주목하고 있다.
`소진 정책`이란 여러가지 이유를 들어 노조와의 교섭을 최대한 지연, 노조원을 지치게 하고 이후 노조 자체를 와해시킨다는 전략으로 삼성전자 압수수색에서 발견된 노조 파괴 `마스터 플랜`과 그 궤를 같이한다.
실제로 경총은 지난 2013년 각 지역 서비스센터 노조와의 교섭 대행 과정에서 빈번히 결렬을 선언하는 방식을 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의 경총 압수수색을 통해 삼성전자가 삼성전자서비스와 경총을 내세워 노조를 파괴한 다수의 증거들이 확보됨에 따라 검찰은 30일 부터 삼성전자 실무 책임자 및 임원 소환조사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검찰 조사 과정에서 노조파괴 행위가 삼성그룹 미래전략실의 조직적 개입으로 이뤄진 것이 밝혀질 경우 이재용 부회장이 다시 검찰의 수사 대상으로 떠오를 가능성도 높아보인다.
노조파괴행위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81조 위반으로 위반할 경우 최대 2년의 징역형에 처할 수 있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