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손의료보험 국민 66% 가입, 손해율은 122%로 보험사 팔수록 손해

금융 / 백성진 / 2018-04-15 15:42:53
  • 카카오톡 보내기
[사진=금융감독원]

(이슈타임 통신)백성진 기자=금융감독원이 국민 3명 중 2명꼴로 가입한 실손의료보험의 손해율이 122%로 적자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고 '보험사 실손의료보험 현황'을 통해 15일 발표했다.


2017년 말 기준 개인실손보험 계약 수는 3천 419만건으로 전년 말(3천 332만건) 대비 2.6%(87만건) 증가했으며 국민 5천 178만명의 66% 수준이다.


실손의료보험 중 손해보험사가 보유한 계약은 2천 787만건으로 81.5% 점유율을 기록했고 생명보험사는 632만건으로 18.5% 수준이다.


기본 계약에 도수치료나 비급여 주사제, 비급여 MRI 등 특약을 붙일 수 있는 신실손보험 계약 수는 168만건, 노후실손보험은 2만 9천건이다.


지난해 개인 실손보험의 위험 손해율은 121.7%를 기록해 2016년의 131.3%보다 약 10% 낮아졌지만 여전히 100%를 넘는 걸로 나타났다.


위험손해율은 발생손해액을 위험보험료로 나눈 수치로 100%를 넘는다는 것은 가입자가 낸 돈보다 보험금으로 타가는 돈이 많다는 걸 의미한다. 자기부담금이 없는 예전 실손보험의 손해율은 131.5%로 평균을 상회한다.


보험료 수익은 7조 4천 71억원으로 1년 전 대비 15.4%(9천 861억원) 증가했다. 발생손해액 역시 7조 5천 668억원으로 전년 대비 8.5%(5천 945억원) 늘었다.


금감원은 정부의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추진 계획에 따라 실손의료보험의 손해율이 점차 개선될 것으로 보고 보험료 인상을 자제시키고 있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