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5년내 세계 최고 수준 '스마트시티' 조성

금융 / 순정우 / 2018-01-29 13:57:42
  • 카카오톡 보내기
국가 시범도시, 세종 5-1 생활권‧부산 에코델타시티 2곳 선정
스마트시티에서 변화되는 일상.[사진=국토부]

(이슈타임 통신)순정우 기자=정부가 민간기업등 다양한 수요자가 참여하는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해 국가시범도시 2곳을 선정했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29일 오전 광화문KT 12층 회의실에서 장병규 위원장 주재로 4차산업혁명위원회 제4차 회의를 개최하고,'스마트시티 추진전략'안건을 논의했다.


이날 장병규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은 "스마트시티는 4차 산업혁명의 모든 기술·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 의미가 있다"며 "스마트시티가 지속가능한 플랫폼으로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개방적 확장성을 가지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스마트시티 추진전략의 주요 내용은 살펴보면, 기술 중심의 단편적 접근, 공공주도의 스마트시티(U-City) 정책에서 벗어나 혁신성장을 견인하는 지속가능한 도시, 민간기업‧시민 등 다양한 수요자가 참여하는 사람 중심의 열린 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스마트시티 7대 혁신변화”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도시성장 단계별 차별화된 접근, ▲도시가치를 높이는 맞춤형 기술 접목, ▲민간기업‧시민‧정부 주체별 역할 재정립이라는 “3대 전략”을 실행한다.


국가 시범도시를 플랫폼으로 자율주행차, 스마트에너지, AI 등 4차 산업혁명의 다양한 미래기술이 집적‧구현되도록 하고, 데이터 기반 스마트 도시운영으로 도시문제 해결과 신산업 창출을 지원한다.


스마트시티 특별위원회는 지난해 11월부터 시범도시 컨셉을 구현할 최적 부지를 논의해 왔으며, 세종 5-1 생활권(83만평), 부산 에코델타시티(세물머리지역 중심, 66만평) 2곳을 시범사업지로 선정했다.


세종은 에너지‧교통, 부산은 워터시티 컨셉‧국제물류 연계성을 기본으로 다양한 생활체감형 기술을 함께 구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운영초기 신도시인 혁신도시를 스마트시티 지역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특성을 살린 “스마트 혁신도시 선도모델”을 추진한다. 다음으로 도시운영‧성숙단계인 기존도시의 스마트化를 추진한다.


스마트시티의 가치를 담은 기술이 미래 신도시부터 노후도심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구현되도록 기술수준을 고려한 접근을 추진한다.


국가 시범도시에는 차세대 네트워크, 빅데이터, AI 등 미래 공통 선도기술에서 부터 자율주행, 스마트그리드, 가상현실 등 체감기술까지 집중 구현하고, 이에 대한 실증‧상용화도 함께 추진한다.


국토교통부 손병석 제1차관은 "국가 시범도시의 성공을 위해서는, 범정부 협조체계 구축과과감한 규제개혁을 통한 민간참여가 필수”라고 강조하면서, "빠른 시일내에 국민들이 생활의 변화를 실제로 체감할 수 있도록 속도감있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