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과 동시에 사생활 자동 염탐 당하는 北 컴퓨터 운영체제 '붉은별'

국제 / 박혜성 / 2015-12-30 15:25:33
  • 카카오톡 보내기
"사용자가 모르는 사이 모든 파일에 추적 가능한 태그가 달린다"
해외 IT 보안 전문가들이 북한의 컴퓨터 운영체제 '붉은별'을 분석했다.[사진=Guardian]

(이슈타임)박혜성 기자=해외의 IT 보안업체가 북한의 컴퓨터 운영체제(OS)에 대해 분석해 눈길을 끌고 있다.

지난 27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 등 외신들은 독일 IT 보안업체 ERNW 소속 플로리안 그루노와 니클라우스 시스가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 한 국제회의에서 북한의 자체 OS '붉은별'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그루노와 시스는 북한 외부의 웹사이트에서 '붉은별'을 다운받아 코드를 분석했다.

그 결과 2013년 판 최신 '붉은별'은 리눅스 페도라 버전을 기반으로 해 제작됐으며 한글 워드프로세서, 달력, 음악 작곡 프로그램 등이 깔려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이들은 자체 파일 암호화 기술 등 독창적인 부분이 많아 기존 OS를 단순히 베낀 것은 아니었다고 평가했다.

눈길을 끈 것은 철저한 보안과 이용자의 사생활을 들여다보는 기능이었다.

'붉은별'은 바이러스 백신이나 방화벽 등 핵심 기능에 변화를 주려고 할 경우 에러 메시지를 띄우거나 아예 재부팅을 해버린다.

그루노는 ''붉은별'은 OS의 모든 특성을 갖췄고 북한 개발자들이 대부분의 코드를 통제하고 있다'며 '외국 정보기관들이 침입할 수 있는 코드는 모두 피하려고 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공포심 때문에 그렇게 만든 것 같다'며 '북한은 외국이 침투할 수 있는 '백도어'가 두려워서 다른 OS로부터 독립하고 싶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또한 '붉은별'은 주민들의 컴퓨터 생활을 단속하는 역할도 한다.

북한에선 외국 음악, 영화, 문서 파일을 당국의 추적이 어렵게 USB나 마이크로 SD 카드에 담아 개인 간에 교환하는 일이 늘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붉은별'은 컴퓨터나 컴퓨터에 연결된 USB에 담긴 모든 파일에 태그를 달 수 있다.

그루노는 '분명히 사생활을 침해하는 부분'이라며 '파일을 열어보지 않아도 사용자가 모르는 사이에 태그가 달린다'고 전했다.

'붉은별'이 깔린 컴퓨터를 거친 모든 파일엔 추적 가능한 꼬리표가 달리는 것이다.

한 북한 전문가는 '새로운 기술과 새로운 정보의 원천에 대응하는 데 필요한 감시'보안 절차를 새로이 도입해야 한다는 점을 북한이 깨달은 것'이라고 평했다.

한편 북한에 '붉은별'을 탑재한 컴퓨터가 얼마나 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북한 내부에서 개인용 컴퓨터 사용이 늘어나고는 있지만 대부분의 컴퓨터에는 지난 2001년 출시된 윈도 XP가 깔린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아울러 북한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월드와이드웹(WWW)과 연결되지 않지만, 북한 관영 매체나 일부 승인된 사이트에 접속 가능한 인트라넷을 운영하면서 대략 10년 전부터 자체 OS 개발에 몰두한 것으로 알려졌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