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오해 보이는 헛소리' 구분 못하면 지적 수준 떨어져
- 국제 / 김담희 / 2015-12-05 23:34:36
인지력이 낮은 인물들일수록 무작위 문장에 높은 점수 매겨
(이슈타임)김현진 기자=인터넷에 떠도는 명언 중에 교훈이나 의미를 찾기 히든 것들을 쉽게 구분하지 못하는 사람일수록 지적 수준이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캐나다 위털루대학교 연구원 고든 페니쿡은 '심오해 보이는 헛소리(pseudo-profound bullshit)에 대한 식별능력과 수용현상에 관하여'라는 다소 우스운 제목의 논문을 통해 '지능이 낮고 사색을 적게 하는 사람일수록 이지적인 것처럼 보이는 '헛소리'를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연구팀은 300여 명의 참가자들에게 '똑똑해 보이지만 사실상 아무런 의미도 찾기 힘든' 문장을 임의로 만들었다. 연구팀이 생성한 '헛소리'의 예시로는 '이면에 숨겨진 의미는 비할데 없는 추상적인 아름다움을 변형시킨다'(Hidden meaning transforms unparalleled abstract beauty)등이 있다. 연구결과 '헛소리 문장'들의 '심오함'을 5점 만점 척도로 각자 평가해줄 것을 요청했따. 그 결과 연구 사전에 진행되었던 설문에서 자신에 대해 '사색을 적게 하고, 인지능력이 부족하다'는 평을 내린 참가자들일 수록 무작위 문장에 높은 점수를 매겼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연구팀이 '헛소리 문장'들 사이에 실제 유명 작가의 트위터 글을 섞어서 제시한 뒤, 동일한 절차를 반복했을 때도 인지력이 낮은 인물들일수록 두 유형의 문장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고 비슷한 점수를 매긴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연구팀은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사람들은 과거 어느 때보다도 '헛소리'에 많이 노출되고 있다'면서 '우리 연구는 헛소리에 대한 사람들의 심리를 이해하는 중요한 첫 단계를 제시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캐나다의 한 대학에서 진행된 연구겨과에 따르면 지능이 낮을수록 명언을 구분하지 못한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GettyImagesBank멀티비츠]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