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300만년 전 생존한 새로운 고대 인류 '호모 날레디' 화석 발견

국제 / 박혜성 / 2015-09-11 11:58:51
  • 카카오톡 보내기
두개골 형태·손발 모양 등 현대 인류와 유사
최대 300만년 전 살았을 것으로 추측되는 새로운 고대 인류 화석이 발견됐다. 사진은 예상 복원도.[사진=New York Times]

(이슈타임)박혜성 기자=남아프리카공화국의 동굴에서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고대 인류의 화석이 발견돼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 10일(현지시간) AP통신 등 외신들은 과학자들이 요하네스버그에서 북서쪽으로 50㎞ 떨어진 '화석 인류 유적' 인근의 깊은 동굴에서 이전까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인류의 화석을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발굴을 이끈 비트바테르스란트대학의 리 버거 교수는 '우리는 사람 속(genus Homo)에 속하는 새로운 종을 발견했다'며 '매우 주목할 만한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이 인류가 살았던 정확한 연대는 아직 알 수 없다면서도 '현재까지의 추측이 맞다면 형태나 외형을 봤을 때 최소 250만~300만 년 전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는 '루시'로 알려진 인류의 조상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가 살았던 290만~380만 년 전과 비슷하다. '

새로 발견된 인류는 화석이 발견된 동굴의 이름인 '떠오르는 별'에서 따 '호모 날레디'로 명명했다. 날레디란 남아공 세소토어로 '별'을 뜻한다.

버거 교수는 호모 날레디가 원시의 직립 영장류와 인류 사이를 연결해 주는 '잃어버린 고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호모 날레디는 침팬지보다 조금 더 큰 고릴라 사이즈의 작은 뇌를 갖고 있다. 남자의 키는 150㎝, 여자는 그보다 약간 작았으며 어깨와 골반은 원시 영장류와 비슷한 크기다.

그러나 이마 등 두개골의 형태, 상대적으로 작은 치아와 긴 다리, 손과 발의 모양 등은 현대 인류와 상당히 유사하다고 연구진은 판단했다.

발굴팀 소속 고인류학자 존 호크는 호모 날레디애 대해 인간의 특성과 더 원시적인 영장류의 특징이 섞여 있다며 이런 조합은 지금까지 보고된 바 없는 조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인류 진화의 역사가 우리가 상상해왔던 것과는 다를 수도 있다는 사실을 말해 준다'고 말했다. '

다만 연구진은 물론 발굴 프로젝트에 참여하지 않은 다른 전문가들도 호모 날레디가 현대 인류의 직접적인 조상으로 보고 있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화석 인류 유적'은 스터크폰타인과 스와르트크란스 등 세계 인류 화석의 50% 이상이 발견된 동굴들이 밀집해 있어 '인류의 요람'으로 불리며,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도 등록돼 있다.

지난 2013년 9월 발견된 이 동굴에서 지금까지 발굴된 화석들은 총 1500 조각으로 어린 아이부터 노인까지 최소 15명의 시신으로 추정되며, 아직도 수천 조각의 뼈가 남아있다.
'
새로 발견된 호모 날레디의 뼈.[사진=New York Times]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