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서 남편이 '이혼' 세번 외치면 '이혼성립' 관행, 폐지될 수 있을까

국제 / 김담희 / 2015-08-12 10:47:58
  • 카카오톡 보내기
이슬람 지도자들 "남용 보완책은 필요하지만 폐지는 안돼"
지난 10일 영국 가디언 보도에 따르면 인도에서 남편이 '이혼'을 세번 외치면 이혼이 성립되는 '트리플 탈라크' 관습 폐지를 두고 논의중이라고 밝혔다.[사진=Amrit Dhillon]


(이슈타임)김현진 기자=인도에서 남편이 이혼이라는 뜻의 단어 탈라크를 세번 외치면 법정에 갈 필요도 없이 이혼이 성립되는 관행을 폐지하는 것을 두고 관심이 쏠렸다.

인도 정부 기구인 '인도 여성지위에 관한 고위급 위원회'가 최근 '트리플 탈라크' 관행을 법으로 금지할 것을 공식적으로 권고하는 보고서를 냈다고 영국 가디언이 지난 10일 보도했다.'

이 위원회는 '트리플 탈라크 관습이 기혼여성들(의 사회적 지위)을 극도로 취약한 상태로 몰아놓으며 혼인 상태도 불안정하게 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정부 부처인 여성아동개발부로 전달돼 인도 정부는 시민'종교 단체들과의 논의를 거쳐 폐지 여부를 최종 결정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지난 2007년 설립된 인권단체인 '인도무슬림여성복지운동'에서 일하는 나샤트 후사인과 동료 활동가들은 '그동안 끈질기게 벌여온 악습 폐지 운동이 이번엔 결실을 맺기를 기대하고 있다. 후사인은 그동안 여성인권 향상을 놓고 이슬람 종교지도자들과 맞설 때마다 똑같은 벽을 느껴왔다'고 말했다. 하나같이 여성을 통치하는 방법은 경전에 허용돼 있으므로 대체될 수 없다는 논리를 내세워왔다는 것이다.'

인도에는 연방 차원에서 결혼과 이혼의 절차와 법적 효력 등을 규정한 통일된 민법이 없어 '트리플 탈라크' 선언으로 이혼당한 여성이 법원에 호소해도 도움을 받을 길은 없다.

그러나 이슬람 최고 경전인 쿠란에는 '트리플 탈라크'를 명시한 조항이 없다. 쿠란은 오히려 '아내와 이혼하고자 하는 이는 넉 달을 기다려야 하느니라'(제2장 226조)고 규정해 일종의 금욕과 숙려 기간을 강제하고 있다.'

많은 이슬람 국가들은 한동안 쿠란이 아닌 샤리아(이슬람 율법)와 강력한 가부장제에 의거해 '트리플 탈라크'를 인정해왔으나, 오늘날엔 인도를 제외하고는 이런 관행을 찾아보기 힘들다.

인도에서 이런 악습이 남아있는 건 인도 무슬림의 대다수가 따르는 하나피법(이슬람 수니파의 4대 법학파 중 하나)이 이를 인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도의 이슬람 지도자들도 '트리플 탈라크'의 남용을 막을 보완책 마련에는 찬성하지만 폐지에는 반대하고 있지만 샤리아에 정통한 인도의 무슬림 학자인 타히르 마무드는 트리플 탈라크 폐지에 힘을 실었다.'

그는 최근 인도 온라인 미디어 '스크롤'과의 인터뷰에서 '이슬람에 대한 무지와 완고함, 맹신이 트리플 탈라크를 지탱하는 요인들'이라며 '왜 인도가 아직도 17세기 구법에 얽매여 있어야 하는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