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볼라 장기화의 결과…변종 바이러스 출현

경제/산업 / 백재욱 / 2015-01-30 14:49:29
  • 카카오톡 보내기
장기화 지속될수록 변종 감염 사례 증가할 것
에볼라 바이러스가 변종 바이러스로 출현한 사실이 확인됐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

(이슈타임)백재욱 기자=에볼라 바이러스가 장기화됨에 따라 여러 단계를 거쳐 변종 바이러스로 출현해 전세계 의료계가 집중하고 있다.

29일(현지시간) 영국 BBC방송이 기존의 에볼라 바이러스가 아닌 변종 바이러스가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3월 에볼라 발병을 확인한 파스퇴르 연구소는 최근 아프리카 기니에서 에볼라 바이러스의 변종 발생 사실을 확인했다.

변종 바이러스의 전염 강도에 대한 분석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방송은 전했다.

이 연구소의 아나바즈 사쿤타바이 박사는 에볼라 바이러스의 변이로 진단과 치료 대응이 시급해지고 있다 며 에볼라 퇴치를 위해서는 바이러스가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알아야 한다 고 강조했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에이즈 바이러스(HIV)나 독감 바이러스처럼 돌연변이 발생이 높은 RNA형이어서 변종 바이러스의 출현은 예견된 일이었다.

사쿤타바이 박사는 변종 가운데는 전혀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사례도 있다 며 이런 감염자들은 에볼라를 더 쉽게 전염시킬 수 있다 고 우려했다.

그는 바이러스 변종은 인체에 대한 치명성은 줄지만 전염성은 강해지므로 에볼라 퇴치 노력은 어려워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희박하지만 에볼라 바이러스가 여러 단계의 돌연변이 과정을 거쳐 호흡기로 전염되는 단계에까지 이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영국 노팅엄대의 감염의학자 조너선 볼 교수는 특별한 증상을 유발하지 않는 변종 에볼라가 얼마나 확산할지는 예단하기 어렵다 며 에볼라가 창궐 기간이 길어질수록 변종 감염 사례는 증가할 것 이라고 밝혔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앞서 서아프리카 3개국에서 지난 25일까지 한 주간 신규 감염자가 처음으로 100명 미만으로 줄어 에볼라 확산이 진정 기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