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B, 올해 韓 성장률 1.5%→0.8% 하향…물가 1.9% 유지
- 경제 / 류현주 기자 / 2025-07-23 11:55:12
2025년 7월 아시아 경제전망 발표
3개월 만에 대폭 하향…내년 1.6%로 0.3%p↓
[프레스뉴스] 류현주 기자=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5%에서 0.8%로 0.7%포인트(p) 하향했다. 미국 관세 인상에 따른 수출 둔화 가능성을 반영한 것이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ADB는 23일 '2025년 7월 아시아 경제전망'을 발표했다. 이날 경제전망에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회원국(49개) 중 일본·호주·뉴질랜드를 제외한 46개국이 포함됐다.
ADB는 매해 4월 연간전망을 발표하고 7월과 12월 두차례 보충전망을 발표하고 있다. 9월에는 수정전망을 발표한다.
이번 전망에서 ADB는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4월 전망 대비 0.7%p 낮춘 0.8%로 제시했다. 미국의 관세인상과 무역 불확실성으로 인해 수출이 추가적으로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한국은행과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올해 성장률을 0.8%로 예상한 바 있다.
또한 건설투자 감소, 수출 둔화, 부동산시장 약세 등으로 인해 성장이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확장적 재정정책으로 하반기부터 내수가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성장률은 1.6%로 4월 전망(1.9%) 대비 0.3%p 낮췄다. 무역 불확실성과 관세 인상의 여파가 지속적인 부담요인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물가상승률의 경우 올해와 내년 모두 1.9%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올해 경제성장률은 4월 전망 대비 0.2%p 감소한 4.7%로 전망했다. 아울러 내년도 성장률은 4월 전망 대비 0.1%p 감소한 4.6%로 제시했다.
미국의 관세 인상과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으로 인한 수출 위축, 중동지역 갈등 등 지정학적 위기로 인한 해상운송 차질과 유가상승, 중국의 부동산시장 장기 침체 등으로 인해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아태 지역의 올해 물가상승률은 2.0%로 4월 전망 대비 0.3%p 하향 조정했다. 내년은 기존 전망보다 0.1%p 낮춰 2.1%로 전망했다.
3개월 만에 대폭 하향…내년 1.6%로 0.3%p↓
![]() |
▲ADB는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0.8%로 전망했다.(사진= 프레스뉴스 DB) |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ADB는 23일 '2025년 7월 아시아 경제전망'을 발표했다. 이날 경제전망에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회원국(49개) 중 일본·호주·뉴질랜드를 제외한 46개국이 포함됐다.
ADB는 매해 4월 연간전망을 발표하고 7월과 12월 두차례 보충전망을 발표하고 있다. 9월에는 수정전망을 발표한다.
이번 전망에서 ADB는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4월 전망 대비 0.7%p 낮춘 0.8%로 제시했다. 미국의 관세인상과 무역 불확실성으로 인해 수출이 추가적으로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한국은행과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올해 성장률을 0.8%로 예상한 바 있다.
또한 건설투자 감소, 수출 둔화, 부동산시장 약세 등으로 인해 성장이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확장적 재정정책으로 하반기부터 내수가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성장률은 1.6%로 4월 전망(1.9%) 대비 0.3%p 낮췄다. 무역 불확실성과 관세 인상의 여파가 지속적인 부담요인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물가상승률의 경우 올해와 내년 모두 1.9%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올해 경제성장률은 4월 전망 대비 0.2%p 감소한 4.7%로 전망했다. 아울러 내년도 성장률은 4월 전망 대비 0.1%p 감소한 4.6%로 제시했다.
미국의 관세 인상과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으로 인한 수출 위축, 중동지역 갈등 등 지정학적 위기로 인한 해상운송 차질과 유가상승, 중국의 부동산시장 장기 침체 등으로 인해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아태 지역의 올해 물가상승률은 2.0%로 4월 전망 대비 0.3%p 하향 조정했다. 내년은 기존 전망보다 0.1%p 낮춰 2.1%로 전망했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