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韓 올해 성장률 2.1%→1.5% 대폭 하향…내년 2.2% 전망
- 경제 / 장현순 기자 / 2025-03-18 09:28:48
직전 대비 0.6%p↓...세계 경제 3.1% 성장
![]() |
▲사진= 프레스뉴스 DB. |
17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OECD는 이날 발표한 '중간 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1%에서 1.5%로 0.6%포인트(p) 하향했다.
OECD는 지난해 12월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2.1%로 전망한 바 있다. 올들어 국내기관들은 일제히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를 이유로 우리나라 성장 전망치을 대폭 낮췄는데, OECD 역시 하향 조정 대열에 동참한 것이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11월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을 1.9%를 전망했다가 지난달 25일 수정 경제전망에서 1.5%로 낮췄다. 정부(1.8%)와 한국개발연구원(KDI·1.6%)도 1%대 성장률을 전망하고 있다.
OECD는 "2024년 세계경제는 회복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최근의 경제활동 지표들은 글로벌 성장 전망이 완만해질 것을 나타내기 시작했다"면서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통상정책 등 "무역 정책에 중대한 변화가 발생해 지속될 경우 글로벌 경제 성장 영향을 주고 인플레이션을 상승시킬 수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인플레이션 압력이 다수 국가에서 지속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다만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2.1%)보다 0.1%p 상향해 2.2%를 제시했다. 올해와 내년 우리나라의 물가상승률은 기존보다 0.1%p씩 상향해 1.9%, 2.1%로 예상했다.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높아진 무역장벽, 지정학적·정책적 불확실성 증대에 따라 기존 3.3%보다 0.2%p 낮은 3.1%를 전망했다. 주요 20개국(G20) 성장률도 3.3%에서 3.1%로 낮췄다.
주요국의 성장률 전망치도 △미국 2.4%→2.2% △유로존 1.3%→1.0% △일본 1.5%→1.1% △캐나다 2.0%→0.7% △멕시코 1.2%→-1.3% 등으로 낮아졌다.
OECD는 향후 세계경제의 하방 요인으로 무역 장벽 확대에 따른 글로벌 경제의 분절화 심화 가능성, 인플레이션 상승에 따른 통화정책 제약 및 금융시장 변동성, 국방비 등 지출에 따른 장기적 재정압박 우려 등을 꼽았다.
상방 요인으로는 관세 장벽 인하를 위한 합의 가능성, 지정학적 분쟁 해결 등을 꼽았다.
정책 권고로는 불확실성 확대, 교역비용 상승 우려를 감안해 근원 인플레이션이 계속 억제되도록 통화정책 차원에서 주의 깊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