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폐공사, 지식재산권 등록 9백건 돌파

대전/충남/세종 / 최정현 / 2021-01-15 15:27:45
  • 카카오톡 보내기
화폐‧국가신분증서 모바일 상품권과 신분증‧IoT‧블록체인 관련 기술 등으로 확대
“디지털 시대에도 국민 경제생활 신뢰 유지에 최선의 노력 다할 것”
▲ 화폐‧국가신분증서 모바일 상품권과 신분증‧IoT‧블록체인 관련 기술 등으로 확대
“디지털 시대에도 국민 경제생활 신뢰 유지에 최선의 노력 다할 것”

 [프레스뉴스] 최정현 기자= 한국조폐공사가 등록한 지식재산권(지재권)이 900건을 넘어섰다. 

 

조폐공사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축 방법 ▲차세대 전자여권 제조기술 등 지난 한해 70건의 지재권을 새로 등록, 누적 등록건수가 905건에 달했다고 14일 밝혔다.

 

조폐공사의 지재권 등록건수는 2016년 628건(연말 기준), 2017년 680건, 2018년 762건, 2019년 835건 등 매년 가파르게 늘고 있는 추세다.

 

이 같은 성과는 자체 기술연구원을 통해 화폐와 주민등록증, 여권 등의 제조에 필요한 위변조방지 기술을 고도화하는 한편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다양한 연관 기술 확보에 노력해온 덕분으로 풀이된다.

 

조폐공사는 디지털 시대를 맞아 ▲특수물질을 이용한 정품인증 사업 ▲모바일 지역상품권 등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플랫폼 서비스 사업 ▲모바일 공무원증, 모바일 운전면허증 등 모바일 신분증 사업 ▲주유기‧스마트미터기 등에서 주고받는 정보의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보안모듈 사업 등 IT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이에 따라 보유 지재권도 위변조방지 기술 분야에서 IoT(사물인터넷)‧블록체인 기술 등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기술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이종선 기술처장은 “조폐공사는 70년 동안 화폐 제조에서 축적한 위변조방지 기술을 바탕으로 ‘가짜없는 세상’을 만드는 데 힘써왔다”며 “온라인 세상에서도 국민 경제활동의 신뢰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하는 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