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영업점 축소에 대책 마련 '시급'...비대면 채널 활성화

금융 / 김혜리 / 2018-07-30 12:28:34
  • 카카오톡 보내기
금융당국, 점포 축소절차 모범규준 준비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슈타임)김혜리 기자=스마트폰 등을 활용한 비대면 채널 활성화로 은행권의 영업점 몸집줄이기가 가속화하고 있다. 점포 수가 더 이상 무의미해지고 비용절감을 통해 효율성을 높이려는 경영전략이다. 하지만 영업점 축소가 고령층 금융소비자 등의 금융접근성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3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은행의 점포수는 지난 2014년 말 7383곳에서 지난해 말 6722곳으로 8.95% 줄었다. 국민·신한·우리·하나은행 등 시중은행의 점포수는 지난 2015년 3760곳에서 이듬해 3693곳, 지난해 말엔 3575곳까지 감소했다.

모바일뱅킹이 활성화되면서 인건비와 임차료 등 고정비 부담이 높은 오프라인 영업점을 축소해 영업 효율화를 꾀한다는 전략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인건비, 임대료 등을 고려하면 불필요한 영업점은 없애는 게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한 시중은행의 디지털부서 책임자도 "영업점 운영 비용을 줄여 결제플랫폼 또는 유통채널 등과 제휴하는 데 투자하는 게 더 효율적"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오프라인 영업점 축소가 디지털뱅킹 환경에 익숙지 않은 소비자들의 금융접근성을 악화시킬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내놓은 '2017년 인터넷 이용실태 조사 결과'를 보면 60대와 70대 이상의 인터넷뱅킹 이용자 비율은 각각 19.9%, 6.4%에 그쳤다. 20대와 30대의 이용자 비율이 각각 86.6%, 91.4%에 이르는 점도 극명히 대조된다. 

상황이 이렇자 금융감독원은 이달 초 발표한 금융감독혁신과제를 통해 ▲은행 지점 폐쇄 전에 영향평가 실시 ▲고객과 이해관계자에게 폐쇄 사실 통보 ▲우체국 점포망 활용 등 대체수단 적극 강구 등의 내용이 포함된 '은행 지점 폐쇄절차 등에 대한 모범규준'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금감원 은행감독국 관계자는 "은행의 영업점 폐쇄가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안인 만큼 은행이 할 수 있는 대체 접근수단을 같이 고민해보자는 취지"라면서 "향후 어떤 식으로 모범규준 작업을 해나갈지 휴가철이 지난 후 은행들과 상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