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선사문화, 콘텐츠로 다시 태어난다…지역 대표 기관 맞손

경남 / 정재학 기자 / 2025-07-17 21:28:51
  • 카카오톡 보내기

▲진주시-경상국립대-진주박물관-경남연구원 다자간 업무협약(사진=진주시)

[프레스뉴스] 정재학 기자=진주 선사문화가 문화 콘텐츠로 재탄생한다. 진주시와 경상국립대학교, 국립진주박물관, 경남연구원이 손잡고 진주 고유의 선사 유산을 콘텐츠화하는 공동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17일 진주시청 기업인의 방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네 기관은 진주 선사문화 연구 활성화와 지역 문화 콘텐츠 개발을 위한 다자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진주지역의 선사 유적을 학술적으로 재조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 콘텐츠를 창출해 지역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진주는 대평리, 상촌리, 평거동, 초전동 등지에서 대규모 청동기 유적이 발굴된 지역이다. 특히 국내에서 드물게 옥 공방과 석제 옥 가공품이 출토된 지역으로, 이곳에서 제작된 옥 장신구는 여수·사천 등 남해안 일대로 확산되며 활발한 교류의 흔적을 남겼다.

네 기관은 ‘남강 유역 옥 문화’를 중심으로 △자료 집성 △산지 및 공방 탐색 △출토 옥의 자연과학적 분석 등 학술 연구를 공동 추진한다. 연구 결과는 전시·단행본·디지털 콘텐츠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시민과 공유된다.
 

조규일 진주시장은 “이번 협약은 지역 문화 네트워크가 만든 모범적 협업 사례”라며 “진주 선사문화의 학술·문화적 가치가 재조명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병현 경상국립대 연구부총장은 “융합연구를 통해 선사 유물의 가치를 밝혀내겠다”고 전했고, 장용준 국립진주박물관장은 “남강 유역의 옥 문화가 국내외에 널리 알려지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오동호 경남연구원장도 “옥 제작과 유통 경로를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실질적인 콘텐츠화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진주시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선사문화의 학술적 가치를 문화산업과 연계해 ‘문화도시 진주’의 정체성을 더욱 확고히 다진다는 계획이다.

[ⓒ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